2024년부터 3년간 WHO 예산·전략 수립 등에 나서
내년부터 우리나라가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집행이사국으로 국제보건 전략 수립과 국제보건 현안 대응을 주도하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16일부터 20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되는 WHO 제74차 서태평양 지역위원회에서 우리나라가 2024년 5월부터 임기가 시작되는 2개국의 WHO 집행이사국 가운데 한 곳으로 내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서태평양 지역에 배정된 5개의 WHO 집행이사국 중 임기가 만료되는 국가가 있으면, 지역위원회에서 다음 WHO 집행이사국을 내정하고 다음 연도 5월 세계보건총회에서 이를 확정하고 있다.
WHO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는 총 34개 집행이사국(3년 임기)으로 구성되며, 서태평양 지역에는 현재 일본, 말레이시아, 중국, 미크로네시아, 호주 총 5개국이 배정돼 있다. 내년 5월 임기가 만료되는 국가는 일본과 말레이시아로, 현재 이 자리에 우리나라 외에 뉴질랜드, 브루나이가 진출 의사를 표명했다.
그러나 회원국 간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와 브루나이가 WHO 집행이사국이 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내년 5월에 예정된 제77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우리나라의 WHO 집행이사국 진출이 최종 확정되면, 이는 우리나라가 WHO에 가입한 1949년 이후 여덟 번째 집행이사국 진출임과 동시에 최초로 이임 이후 1년 만에 다시 진출하게 되는 것이다.
복지부는 우리나라가 2027년 5월까지 서태평양 지역의 대표로서 WHO의 정책 결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집행이사국은 보건 분야 전문가 한 명을 집행이사로 선정하며, 집행이사는 매년 2회 열리는 정기 집행이사회에 참여하게 된다.
그간 WHO 집행이사에 중앙보건소 이용승 전 소장(1960~1963년), 국립보건원 이성우 전 원장(1984~1987년), WHO 서태평양 지역사무처 신영수 처장(1995~1998년), 복지부 엄영진 전 실장(2001~200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손명세 원장(2007~2010년), 복지부 전만복 전 실장(2013~2016년), 식품의약품안전처 김강립 전 처장(2020~2023년)이 활약했었다.
복지부는 "WHO 집행이사회나 총회에서 WHO의 예결산, 주요 사업 전략 및 지역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데 우리나라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며 "이는 국제적 보건 현안을 다루고 대응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우리나라가 추구하는 가치와 우선순위를 적극 반영하고 정부 정책과의 연계와 협력을 더욱 강화해나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지역위원회에 수석대표로 참여한 복지부 이호열 국제협력관은 “이번 집행이사국 내정은, 앞으로 WHO의 현안 대응과 전략 수립에 있어 우리나라가 서태평양 지역의 대표로서 기여와 조언을 지속해 달라는 국제사회의 요청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서태평양 지역을 포함한 모든 인류의 보편적 건강권을 보장하고 미래의 보건위기에 철저히 대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가 WHO 집행이사국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유방암 치료 중 마비·통증·감각저하 나타났다…"암재활 필요하다"
- 작년에 먹던 서랍 속 감기약 다시 꺼내 먹으면 안 되는 이유
- 의료분쟁, 정형외과-내과-치과 순으로 많아…성형외과 1년 새 ‘5배’↑
- 면접‧출근길‧결혼식에서 장 건강이 안 좋아 벌어지는 일들
-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신약 '트로델비', 이달 18일 국내 출시
- "365일 24시간 해열제 살 수 있어야"…시민단체, 서명운동 전개
-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신약 '솔리리스' 급여로 달라진 희귀질환 치료성적
- 자살률 1위 한국, 직장인 ‘번아웃’ 가볍게 여기면 안 돼…자살 위험성↑
- [헬스로그 명의] “폐암과의 싸움에서 무기 종류 많아진 점 고무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