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교수 연구팀
한국인 직장인의 번아웃이 자살 사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확인됐다.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42개국 중 자살률 순위 1위로, 2021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자살은 10~30대 사망원인 1위, 40~60대의 사망원인 2위다.
강북삼성병원은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전상원·조성준 교수 연구팀이 2020년부터 2022년 사이 직장인 마음 건강 증진 서비스를 이용한 제조, 금융, 서비스, 유통, 건설, 공공 행정 등 다양한 직역의 근로자 1만3,000여명에게 자가 설문을 실시해 번아웃과 자살 사고 유무를 조사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19일 발표했다.
직장 내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스트레스는 실제로 자살 위험성을 높이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신체·정서적 에너지의 고갈로 인한 탈진, 직장과 업무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 직업 효능감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번아웃’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국제질병분류기준에 등재한 주요 임상증후군이다.
직무 스트레스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번아웃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번아웃은 직장인들의 자살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그동안 보건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번아웃이 자살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었으나, 보건의료 외에 다양한 직업에서도 번아웃이 자살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선 규명된 바가 없었다.
연구 결과, 번아웃의 증상 중에서 신체·정서적 탈진이 있는 직장인들의 경우 ▲우울증이 있는 직장인에서는 자살 사고의 위험을 36% ▲우울증이 없는 직장인에서도 자살 사고의 위험을 77% 증가시켰다. 탈진 상태의 직장인 중에서도 특히 자기 직무를 스스로 조절할 수 없거나 직장 내 분위기가 우호적이지 않은 경우 자살 사고의 위험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종 교수는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가 소진된 직장인들의 경우, 우울증 여부와 상관없이 자살 위험성 증가 여부를 잘 관찰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연구는 다양한 직업군에서 번아웃, 우울증 그리고 자살 사고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한 최초의 대규모 단면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생산가능인구를 대상으로 한 자살 예방 정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헬스로그 명의] “폐암과의 싸움에서 무기 종류 많아진 점 고무적”
- 뼈에 구멍 숭숭 뚫린 골다공증 환자 120만…10명 중 9명 여성
- 항암제, 최신 치료제일수록 더 좋다?…항암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존엄한 웰다잉 위해 ‘벼락치기 존엄사’ 개선돼야”
- 장기이식은 ‘기적’…장기기증등록자 39만명 중 뇌사기증자, 단 8명
- 독감 예방접종…"늦어도 11월까지는 해야"
-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신약 '솔리리스' 급여로 달라진 희귀질환 치료성적
- 혈액으로 유방암 진단?…'혈액 기반 유방암 진단기', 혁신의료기기 지정
- "365일 24시간 해열제 살 수 있어야"…시민단체, 서명운동 전개
-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신약 '트로델비', 이달 18일 국내 출시
- 최근 출현 '코로나19 바이러스' 맞춤 백신, 19일 국내 접종 본격 시작
- 의료분쟁, 정형외과-내과-치과 순으로 많아…성형외과 1년 새 ‘5배’↑
- 유방암 치료 중 마비·통증·감각저하 나타났다…"암재활 필요하다"
- 대한민국, 내년부터 세계 보건현안 대응 주도…WHO 집행이사국 내정
- 서울대병원, 8년 연속 국가브랜드경쟁력 ‘ 종합병원 부문 1위’
- 조기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의 표적치료 시대 연 신약 '알레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