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막염의 질병조직병리학적 측청치가 약 50% 감소

바이젠셀은 제대혈 유래 골수성 억제세포(CBMS, Cord Blood Derived Myeloid Suppressor)를 이용해 은평성모병원 안과 이현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포도막염 치료 연구에서 포도막염의 질병조직병리학적 측청치가 약 50% 감소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스트레스와 염증 완화를 통해 자가면역 포도막염 진행을 억제시키는 제대혈 유래 골수성 억제세포 국소투여 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SCI급 국제안과 학술지인 ‘IOVS(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에 게재됐다.

포도막염은 일부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을 제외하면 자가면역질환 등 면역체계 이상과 관련이 깊은 경우가 많으며 베체트병, 강직성척추염, 루푸스 등 자가면역질환과 동반해 나타나기도 한다. 또 재발이 잦고 방치할 경우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바이젠셀이 개발한 세포치료제 CBMS가 포도막염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BMS 비투여군과 비교해 동물모델 실험을 진행한 결과 CBMS 투여군에서 포도막염 유발 후 21일이 지난 시점에 포도막염의 질병과 조직병리학적 지표 측정치가 50% 낮아져 증상의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이와 더불어 바이젠셀은 지난해 12월에도 이현수 교수 연구팀과 저널 ‘Biomedicines’에 동물모델 실험을 통해 CBMS가 각막 이식 시 이식편 거부반응의 감소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는 연구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각막 이식 후 42일 시점의 이식 성공률을 비교했을 때 CBMS 비투여군의 각막이식 성공률은 13% 였다. 반면, 바이젠셀의 CBMS 투여군 각막이식 성공률은 정맥투여 그룹의 경우 약 55%, 결막하 주사 투여 그룹은 약 75%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같은 연구 결과들의 기반이 된 바이메디어(ViMedier) 플랫폼 기술의 CBMS는 제대혈 유래 골수성 억제세포로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인한 염증성질환이나 장기 및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거부 반응 치료에 사용된다. 

바이젠셀 바이메디어 플랫폼그룹 김수언 그룹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뿐만 아니라 포도막염을 비롯한 다른 염증성 질환에 대한 치료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게재된 논문의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 이식에 대한 거부반응 뿐만 아니라 각막이식을 비롯한 타 이식거부반응 억제에 대해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며 “지속적인 CBMS 개발로 보다 강력한 면역억제능이 필요하고 시장성이 큰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으로의 적응증 확장 등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