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라자 효과, 유럽종양학회 발표 이어 흉부종양학회지 저널 게재
글로벌 진출을 목전에 둔 유한양행의 국산 3세대 EGFR 변이 표적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가 뇌전이 폐암 환자에게서도 효과적인 약임을 다시금 입증했다.
지난 10월 22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Congress 2023)에서는 렉라자의 1차 치료 뇌전이 효과만을 따로 분석한 하위분석 결과가 발표됐다. 같은 날 국제폐암연구협회(IASLC) 공식 학회지인 흉부종양학회지(JTO)에도 같은 내용이 게재됐다.
해당 분석은 렉라자의 1차 치료 허가 근거가 된 LASER301 임상에 포함된 뇌전이 환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LASER301 임상에 등록된 393명의 진행성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측정 가능하거나 측정 불가능한 중추신경계(CNS) 전이 환자 86명 대상으로 렉라자 효과 및 안전성을 분석했다. 렉라자 240mg 투여군에 45명, 대조군인 게피티닙(제품명 이레사) 250mg 투여군에 41명이 무작위 배정했다.
발표된 분석 결과에 따르면 렉라자 투여군은 두개강 내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median intracranial progression-free survival, miPFS)이 28.2개월, 게피티닙 투여군은 8.4개월로 확인됐다. 측정 가능한 두개강 내 병변이 있는 환자 대상으로 두개강 내 객관적 반응률(intracranial objective response rate, iORR)은 렉라자 투여군 94%, 게피티니브 투여군 73%로 렉라자 투여군에서 역시 더 높았다.
두개강 내 반응 지속기간 중앙값(median intracranial duration of response, miDOR)에 렉라자 투여군은 아직 도달하지 못했고, 게피티니브 투여군은 6.3개월로 확인됐다. 내약성은 LASER301 임상 전체 환자군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세훈 교수는 “진단 시점에 이미 뇌를 포함한 두개강 부위로 전이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비율이 적지 않고 치료 예후 또한 좋지 않아 치료 수요가 높다. 그럼에도 그간 마땅한 치료 옵션이 적었던 게 현실”이라며 “1, 2세대 EGFR 표적치료제는 상대적으로 뇌혈관장벽(BBB) 투과도가 낮아 뇌전이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려웠고 렉라자 이전에는 3세대 치료제가 타그리소 하나뿐이라 옵션이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세훈 교수는 “렉라자는 3세대 옵션으로 뇌혈관장벽 투과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2차 치료에서도 우수한 뇌전이 효과를 보였는데 1차 치료에서도 괄목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며 “효과적인 3세대 옵션이 추가돼 옵션이 한정적이던 4기 뇌전이 환자에게 치료 선택지를 늘렸다는 것만으로도 환영할 일인데, 두개강 내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이 대조군 대비 3배 이상 높았다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결과”라고 강조했다.
한편, 렉라자는 지난 6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로 확대 허가됐다. 이어 두 달 만인 8월 3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6차 암질환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국내 1차 치료 급여 확대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 10월 13일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11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심의를 통해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 적응증에 대해 급여 적정성까지 인정받은 바 있다. 급여기준 고시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약가 협상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의결 단계만 남은 상황이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유한욱의 희귀질환 톺아보기] 희귀유전질환과 유전자치료 전략
- 10년간 괴로웠던 이명…불치병인줄 알았더니 완치법 있었다!
- 전립선비대증치료제 '5 알파 환원효소억제제', 방광암 위험 낮춰
- 추워지면 하루 8번 넘게 화장실 들락날락!…조기 치료 중요한 '방광염'
- 생활습관과 밀접한 '구강암', 최근 여성에게 많이 발병하는 이유
- 재발·불응성 다발골수종 치료제 '엑스포비오', 급여 도전 실패
- 손상된 세포 회복…'안티에이징' 영역 파고드는 고압산소치료
- [헬스로그 명의] 추위 노출 시 빈혈 악화 '고령자', 한랭응집소병 의심을
- 국내 진행성 위암 치료에 '키트루다'가 몰고 올 파장
- 감염병·폭염 몰고오는 '기후변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 눈 주변에 뭔가 만져진다?…시력장애 위험 높은 '안와 양성종양'
- 대장암 조기 발견 가능한 혈액검사법 ‘실드’ 국내 출시
- 국립중앙의료원, WHO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 협력기관 가입
- 국산 'PC 기반 심전도기' 카디오 피원, 美 FDA 승인
- 제대혈 유래 골수성 억제세포, 포도막염 치료 효과
- 인하대병원, 서울대병원과 자폐아 치료 패러다임 전환 논한다
- 이우진 교수, 난치성 뇌전증 중첩증 연구로 SK 젊은 연구자상 수상
- 순천향대부천병원, 내달 1일 '순천향 재난의학센터' 개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