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박영준 교수팀, 피코레이저와 펄스다이레이저 시행
"‘단독’ 아닌 ‘복합치료’ 시 효과 3배 이상 차이"…국제학술지 게재
난치성 후천적 색소질환인 ‘리엘 흑색증(Riehl’s melanosis)‘에 탁월한 새로운 치료법이 나왔다.
리엘 흑색증은 후천적으로 생긴 진피성 색소침착 피부질환으로, 주로 어두운 피부의 중년 여성에서 얼굴과 목 부위에 회갈색의 색소가 침착되는 게 특징이다. 치료가 잘 안되고, 확실한 치료법이 없어 난치성 색소질환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아주대병원 피부과 박영준 교수팀(김율희·백두진 전공의)은 리엘 흑생종을 피코레이저와 펄스다이레이저 복합치료를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리엘 흑색증 진단을 받은 환자 13명의 피부 병리조직을 분석한 결과, 진피의 멜라닌 색소침착 및 혈관 확장을 확인했다.
이에 연구팀은 진피 멜라닌 색소와 혈관성 병변을 치료하는 데 각각 유용한 피코레이저와 펄스다이레이저를 이용한 복합치료를 시행했다.
피코레이저는 멜라닌 색소를 파괴하는 기능이 있어 주로 피부의 전반적인 화이트닝, 기미, 흑자 등의 색소성 질환을 개선하는데 사용하며, 펄스다이레이저는 산화헤모글로빈을 표적으로 하는 레이저로 주사 피부염, 혈관종, 화염상 모반 등 혈관의 확장 및 증식에 의한 피부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돼 왔다.
연구팀은 색소침착을 치료하는 피코레이저 단독치료 환자군과 피코레이저·펄스다이레이저 복합치료 환자군으로 나눠, ’진피 색소 범위 및 중증도 수치‘ 감소 정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단독치료 환자군의 경우 14.6%, 피코레이저·펄스다이레이저 복합치료 환자군은 47.0%로 각각 나타나 복합치료 환자군에서 색소침착이 3배 이상 더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특히 복합치료 후 부작용이 거의 없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연구팀은 “리엘 흑색증은 알레르겐의 지속적인 노출로 인한 염증 반응과 함께 발생하는 진피성 색소침착으로 원인물질을 찾아내기 힘들고, 진피성 색소침착은 레이저 치료도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박영준 교수는 “치료가 잘 안되는 심각한 피부질환인 리엘 흑색종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면서 “또 피부의 조직학적 특성을 임상에 적용해 좋은 치료성적을 확인한 사례로 주목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8월 국제 학술지 ’Photodermatology, photoimmunology and photomedicine‘에 ‘A novel treatment for Riehl’s melanosis targeting both dermal melanin and vessels(진피 멜라닌과 혈관 확장을 타겟한 리엘 흑색증의 새로운 치료법)‘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관련기사
- 소아청소년 시기 당뇨병, 유전분석 결과에 따른 치료법 나오나
- 조현병 조기진단 길 열릴 수도…고위험 환자 미세한 뇌조직 변화 확인
- 복부비만 있으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위험 4.7배 높아
- "선천망막질환 연구자주도 임상시험 필요…정부·민간 지원 이뤄져야"
- 분만·소아 수가 개선에 매년 3,000억원 투입…'필수의료' 강화 발판 마련
- 사라지고 있는 소아비뇨기 전문의들…전북·충북·광주에는 1명도 없어
- 소변에서 피가…요로감염증‧사구체신염‧전립선비대증‧방광암 의심
- "난치성 부정맥, 재발률 낮출 수 있는 방법 있는데…"
- 어깨질환 환자 5년간 7% 늘었는데…건강보험 진료비는 37% 늘었다
- 고혈압이나 터너증후군 앓는데 가슴 찢기는 듯 격통!…'초응급상황' 농후
- 41주차 독감 의사환자분율 2.4배로 치솟아…유행 조짐 뚜렷
- 여야, 백내장 실손보험금 부지급 분쟁 "대책 마련" 한목소리
- "재활치료 환자 이원화해 '기능 회복 가능 환자' 적극 치료해야"
- 국내 의료진, 난치성 방광암 '항암치료 효과 예측 바이오마커' 발견
- 간암수술 뒤 다린물, 엑기스 섭취?…'간암수술 뒤 조심해야 할 식습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