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김선욱 교수팀 발표
부적절한 약물 복용 시 사망 위험 25%↑…경각심 필요

국내 노인 인구에서 5개 이상 약을 복용하는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이로 인한 사망 혹은 장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된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김선욱 교수 연구팀(서울아산병원 정희원 교수·한국보건의료연구원 윤지은 성과연구팀장)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은 66세 젊은 노인 330만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27일 발표했다. 

국내 노인 인구에서 5개 이상 약을 복용하는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이로 인한 사망 혹은 장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된다. 사진 출처=게티이미지
국내 노인 인구에서 5개 이상 약을 복용하는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이로 인한 사망 혹은 장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된다. 사진 출처=게티이미지

연구팀에 따르면 66세의 35.4%(약 16만명)가 5개 이상의 약물을 90일 이상 복용하고 있으며, 이는 2012년 32%(약 8만명) 수준에서 꾸준히 증가해왔다. 10개 이상을 복용하는 비율은 무려 8.8%에 달했다.

이같이 복용하는 약물 개수가 늘수록 생리적인 노화, 약물 간 상호작용, 약물과 질병과의 상호작용 등에 의해 이익보다 위험성이 더 커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한 여러 약물을 복용할수록 노인에게 사용을 지양해야 하는 약물을 처방받을 위험도 증가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 결과 66세 인구의 53.7%에서 1종 이상의 ‘노인 부적절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1인당 평균 2.4개를 복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율은 10년 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절대 숫자는 13만8,000명에서 24만8,000명으로 80%가량 증가했다.

노인 부적절 약물은 노인에게 이득보다 부작용이 클 수 있어 처방에 신중을 요하는 약품으로, 소화성궤양용제 ‘에스오메프라졸마그네슘’ 성분이나 위산분비억제제 ‘라베프라졸나트륨’ 등이 대표적인 약제이다.

실제로 이러한 노인 부적절 약물을 사용한 66세 인구 65만명을 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사망 위험은 25% 증가했으며, 3등급 이상의 장기요양 등급(일상생활에 주변의 도움이 필요한 장애)을 받을 가능성 역시 46% 높았다.

또한 부적절 약물 사용이 2종 이하일 경우 장애 위험이 약 31% 증가한 반면, 3종 이상의 부적절 약물을 사용했을 때는 무려 장애 위험이 81%가 증가하는 등 부적절한 약물 사용이 중복될수록 그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도시(광역시)보다 소도시(군, 구)에 거주하는 사람, 건강보험보다는 의료급여 대상자, 동반질환이 많고 입원 또는 응급실 방문이 많거나 여러 의료기관을 방문했던 환자들에서 약물 개수와 부적절 약물 처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선욱 교수는 “이제 막 노령에 접어든 66세의 젊은 노인들 중에서도 상당수가 다약제 및 노인 부적절 약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망 위험이 증가 혹은 높은 장기요양 등급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윤지은 성과연구팀장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노인 다약제 및 부적절 약물 처방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향후 노인 부적절 약물 사용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정희원 교수는 “잠재적 노인 부적절 약제 복용은 장기적으로 기능 저하를 촉진할 우려가 있으며, 약의 부작용이 더 많은 의료 이용과 약 처방을 부르는 처방 연쇄의 단초가 될 수 있다”며 “의료 이용자와 의료진 모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