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이근욱·보라매병원 최인실 교수 연구팀

전이성·재발성 위암 환자의 표준치료법인 복합항암화학요법이 70세 이상 고령 환자의 생존기간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국내 의료진의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된다. 복합항암화학요법은 치료 효과가 높지만 부작용 발생 확률이 높아 비교적 젊은 환자에게 주로 사용돼 왔고, 70세 이상 환자에게는 제한적으로만 사용돼 왔다.

세계 암 사망 순위 3위인 위암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병 위험이 높아지고 실제 환자 중 50% 이상이 65세 이상인데 관련 연구가 거의 없어 고령 전이성·재발성 위암 환자에 대한 명확한 치료 방침이 없던 실정이었다.

이근욱 교수와 최인실 교수. 사진 제공=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혈액종양내과 이근욱 교수와 보라매병원 혈액종양내과 최인실 교수 연구팀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70세 이상 전이성·재발성 위암 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복합항암화학요법과 단독항암화학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한 연구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14일 밝혔다. 

연구 결과 복합요법 그룹의 전체 생존기간 평균값은 11.5개월이었고, 단독요법 그룹은 7.5개월이었다. 연구팀은 비록 처음 목표보다 환자가 적게 등록돼 생존기간 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은 만족하지 못했지만, 임상적인 관점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특히 70~74세 환자들만 놓고 비교하면 복합요법 그룹과 단독요법 그룹의 생존기간은 15.9개월 대 7.2개월로, 생존 기간의 차이가 8.7개월로 2배 이상의 차이가 났다.

또한 암 치료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무진행 생존기간(암이 악화되지 않고 지속되는 기간)은 복합요법 그룹은 5.6개월로 단독요법 그룹보다 약 2개월 더 길었으며, 이는 통계적 유효성도 확보됐다.

비록 복합요법 그룹에서 혈소판감소증, 설사 등 일부 부작용의 빈도가 높았지만, 3등급 이상의 심한 부작용 발생 빈도는 서로 비슷했으며 삶의 질 관련 설문조사에서도 차이가 없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결론적으로 복합항암제는 고령 환자에게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나이가 74세 이하라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근욱 교수는 “예전에는 70세 이상 고령 환자를 대상으로 한 관련 비교 임상시험 결과가 매우 드물어서 복합항암화학요법 처방은 제한적으로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고령 위암 환자도 증가했는데, 이번 연구로 복합항암화학요법 범위가 확대돼 더욱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