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삼성병원 박성근 교수팀, 당뇨병 환자 2만6,673명 분석
당뇨병 환자, 금연 필요…"금연 못한다면 흡연량 줄이려 노력을"
당뇨병 환자가 흡연하면 뇌경색, 심근경색 등과 같은 대혈관합병증뿐 아니라 당뇨신장병증, 당뇨망막병증, 당뇨신경병증과 같은 미세혈관합병증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된다.
강북삼성병원은 이 병원 서울건진센터 박성근 교수 연구팀이 2만6,673명의 당뇨병 환자의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2003년~2004년의 흡연 상태를 확인하고 이후 2009년의 흡연 상태를 추적 관찰해 당뇨병 환자의 흡연 상태의 변화에 따른 미세혈관합병증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흡연이 당뇨병 환자에게 대혈관합병증을 일으키는 주요 위험인자라는 것은 기존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었지만, 미세혈관합병증에 흡연이 미치는 연구 결과는 많지 않았다.
분석 결과, 2003년~2004년 당시 흡연을 하고 있던 사람들은 2009년에 담배를 끊었을 지라도 한 번도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미세혈관합병증 위험률이 27% 높았다.
또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끊지 않고 지속해서 흡연을 한 사람들은 한 번도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당뇨미세혈관합병증의 위험이 24% 높았다.
이어 연구팀은 흡연량에 따라 ▲비흡연자 ▲소량 흡연자 (0~10갑/년) ▲중등도 흡연자 (11~20갑/년) ▲과다흡연자 (21갑 이상/년)로 나눠, 흡연량에 따른 미세혈관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분석 평가했다.
그 결과, 과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당뇨미세혈관 합병증의 위험이 23% 증가했다.
박성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한번 흡연하게 된 당뇨 환자들은 이후에 금연을 하더라도 아예 흡연 하지 않은 사람보다 미세혈관합병증의 발생 위험에 더욱 노출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과다 흡연 역시 당뇨미세혈관합병증의 위험을 유의하게 높인다”며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금연은 필수적이며, 금연을 못한다고 하더라도 최대한 흡연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안치지의 형성이상 등‘83개’ 희귀질환, 산정특례 지정
- 재발 많고 예후 안 좋은 간암…중간 병기 ‘간 절제’가 치료 효과 높아
- [나의 투병 스토리] 우리들이 만드는 내일
- 가슴이 타는 듯한 통증으로 밤마다 자다 깬다…‘위식도역류증’
- 2030세대, 더는 당뇨병 안전세대 아니다…20대 당뇨병 환자도 급증
- “갑상선기능장애 있으면 노쇠 위험 증가”
- 비호지킨림프종 신약 '엡코리타맙', 레날리도마이드와 병용 '합격점'
- 로봇 무릎인공관절 수술 환자 10명 가운데 9명 “만족해”
- 국내 의료진, 예후 불량 림프종에 '新구제요법' 제시…전세계 이목 집중
- 유전자치료제 등 희귀질환 영역서 포트폴리오 확장해 나가는 화이자
- 희귀질환 약제사전심의의 역설…"혈장반출 뒤엔 기준 맞지 않는데‥"
- 소아류마티스관절염 3단 치료 접근…3~5년 완전관해율 30% 달해
- 간이식 리딩 '서울아산병원', 기증자 복강경수술 선별기준 안전성 입증
- 내년 저소득층 의료비 본인부담상한액, 올해 수준 동결
- 생후 6개월됐는데, '옹알이' 안 한다?…발달성 언어장애 의심을
- 골수이식 뒤 재발 혈액암 특성 확인…'면역세포 기능 억제 수용체' 과발현
- '셈블릭스', 만성골수성백혈병 무치료관해 달성 최상위 선택지
- 임영웅 팬클럽, 서울대병원 넥슨어린이통합케어센터 후원
- 정밀의료가 바꾸는 '유전성희귀질환' 치료환경…극희귀질환 소외 완화
- 코로나 때 떨어진 급성심정지 환자 생존율 다시 반등…전년비 0.5%p↑
- 15가 폐렴구균백신, 내년 4월부터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사업에 진입
- 전이성·재발성 위암 표준치료 '복합항암화학요법', 고령 환자도 효과적
- 김치의 항비만 효과...중장년 남성 비만 발병률 12% 감소
- 희귀·난치성질환 국내 치료제 개발을 위한 학술 포럼 15일 개최
- 첫 국산 카티치료제 '안발셀', 국가신약개발사업 우수과제 선정
- 인구소멸 위험지역=보건의료취약지…"보건의료 인프라 구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