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삼성병원 박성근 교수팀, 당뇨병 환자 2만6,673명 분석
당뇨병 환자, 금연 필요…"금연 못한다면 흡연량 줄이려 노력을"

당뇨병 환자가 흡연하면 뇌경색, 심근경색 등과 같은 대혈관합병증뿐 아니라 당뇨신장병증, 당뇨망막병증, 당뇨신경병증과 같은 미세혈관합병증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된다.

사진 제공=강북삼성병원
사진 제공=강북삼성병원

강북삼성병원은 이 병원 서울건진센터 박성근 교수 연구팀이 2만6,673명의 당뇨병 환자의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2003년~2004년의 흡연 상태를 확인하고 이후 2009년의 흡연 상태를 추적 관찰해 당뇨병 환자의 흡연 상태의 변화에 따른 미세혈관합병증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흡연이 당뇨병 환자에게 대혈관합병증을 일으키는 주요 위험인자라는 것은 기존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었지만, 미세혈관합병증에 흡연이 미치는 연구 결과는 많지 않았다. 

분석 결과, 2003년~2004년 당시 흡연을 하고 있던 사람들은 2009년에 담배를 끊었을 지라도 한 번도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미세혈관합병증 위험률이 27% 높았다.

또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끊지 않고 지속해서 흡연을 한 사람들은 한 번도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당뇨미세혈관합병증의 위험이 24% 높았다.

이어 연구팀은 흡연량에 따라 ▲비흡연자 ▲소량 흡연자 (0~10갑/년) ▲중등도 흡연자 (11~20갑/년) ▲과다흡연자 (21갑 이상/년)로 나눠, 흡연량에 따른 미세혈관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분석 평가했다.

그 결과, 과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당뇨미세혈관 합병증의 위험이 23% 증가했다.

박성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한번 흡연하게 된 당뇨 환자들은 이후에 금연을 하더라도 아예 흡연 하지 않은 사람보다 미세혈관합병증의 발생 위험에 더욱 노출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과다 흡연 역시 당뇨미세혈관합병증의 위험을 유의하게 높인다”며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금연은 필수적이며, 금연을 못한다고 하더라도 최대한 흡연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