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7일 정오부터 어린이병원 제일제당홀에서 열려
서울대병원은 오는 17일 정오 어린이병원 제일제당홀에서 ‘기관절개관 환아 및 보호자를 위한 공개강좌’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강좌는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소아 기도질환 및 기관절개술을 받은 환아 및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보호자들이 평소 궁금했던 주제와 진료실에서 다 하지 못했던 이야기들에 대해 의료진과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소아의 기관절개관술은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발생하는 기도 및 호흡기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이다. 기관절개관을 제거하는 발관 과정은 고난도의 기관문합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며, 대부분 장기간의 경과 관찰이 필요하고 보호자들의 인내와 환자의 기관절개관 관리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강좌는 두 세션으로 구성됐다. 1부는 ‘기관절개술’ 주제로 ▲기관절개술, 어떤 경우에 꼭 필요한가요?(양산부산대병원 성의숙 교수) ▲성문하협착은 무엇이고, 왜 생기나요?(서울아산병원 이윤세 교수) ▲집에서 기관절개관 관리는 어떻게 해야하나요?(서울대병원 김민선 교수) ▲기관절개관을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화순전남대병원 이준규 교수) ▲성문하협착을 치료하는 수술을 알려주세요(서울대병원 권성근 교수) 등으로 구성됐다.
2부는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권성근 교수가 좌장을 맡아 기관절개술 사전 등록을 통해 접수된 환아와 보호자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에 대한 Q&A 시간이 진행될 예정이다. 패널로는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의 서동인 교수·김민선 교수와 전남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충북대병원에서 각각 이준규 교수, 이윤세 교수, 강승헌 교수가 참여한다.
권성근 교수는 “이번 강좌를 통해 의료진이 환아 및 보호자분들에게 한걸음 더 다가가 기관절개술과 기관절개관 관리 및 발관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방광암, 소변 내 단백 바이오마커로 조기진단 가능성 제시돼
- 린파자, 난소암 1차치료 급여 2년…PARP저해제 시장점유율 1위 비결
- 우리나라 65세 이상 2명 중 1명은 ‘대사증후군’ 환자
- 잦은 복통·설사와 함께 성장 멈춘 내 아이 '소아 크론병'
- 지난해 도수치료 실손보험금 1조 돌파…"가이드라인 필요"
- 대사이상 연관 지방간질환자, 심혈관질환으로 사망 위험 1.4배↑
- 이미 터진 ‘당뇨병 대란’…30대 이상 6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
- 대장암 조기 발견 가능한 혈액검사법 ‘실드’ 국내 출시
- 눈 주변에 뭔가 만져진다?…시력장애 위험 높은 '안와 양성종양'
- 감염병·폭염 몰고오는 '기후변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 국내 진행성 위암 치료에 '키트루다'가 몰고 올 파장
- 갑자기 닥쳐온 황망한 죽음 ‘돌연사’ 미리 막을 수 있다
- 치료 성적 높은 간암치료법 '간이식수술'…수술 가능 환자 범위 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