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정수경 안과장에게 듣는 '안암'

치료를 계속 해도 다래끼가 낫지 않는다면 의심해봐야 하는 질환이 있다. 바로 희귀암으로 분류되는 '안암'이 그것이다. 

국립암센터 정수경 안과장은 유튜브 채널 '국립암센터'에서 "다래끼는 사실 염증인데, 자주 재발하는 다래끼는 한 번쯤 암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눈꺼풀 피부암에 생기는 암 중 피지샘암이 있는데, 피지샘암이 초기에 아주 작을 때는 다래끼와 아주 유사하게 보일 수 있는 까닭이다. 

정수경 안과장은 "다래끼를 치료함에도 불구하고 잘 낫지 않고 재발하고 주변으로 퍼지는 것 같으면 한 번 정도는 안암 전문의에게 방문해 조직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권유한다"고 말했다. 

치료를 계속 해도 다래끼가 낫지 않는다면 의심해봐야 하는 질환이 있다. 바로 희귀암으로 분류되는 '안암'이 그것이다. 사진 출처=게티이미지
치료를 계속 해도 다래끼가 낫지 않는다면 의심해봐야 하는 질환이 있다. 바로 희귀암으로 분류되는 '안암'이 그것이다. 사진 출처=게티이미지

눈에 생기는 희귀암 '안암'은 크게 안구 안에 생기는 암과 안구 바깥에 생기는 암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둘은 발생 기전도 다르고 무엇보다 증상이 다르다.

정 안과장은 "안구 안쪽에 생기는 암은 눈을 둘러싸고 있는 막에서 점점 자라서 생기는 암이기 때문에 시력저하가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라고 말했다. 

안구 안쪽에 생기는 암은 점점 커지게 되면서 눈의 중심부를 침범하게 된다. 그러면 보이는 범위가 조금 줄거나 유리체라는 성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날파리증이 생길 수 있다. 

날파리증은 비문증이라고 흔히 불리는데, 실같은 검은 점이나 떠다니는 거미줄, 그림자 또는 검은 구름 등으로 느껴지는 시각적 증상이다. 

하지만 안구 안쪽에 생기는 암도 눈의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 생기면 별 다른 증상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

정수경 안과장은 "암도 중심부에 생기게 되면 날파리증이나 시야가 좁혀지는 증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주변부에 생기게 되면 어느 정도 크기가 커질 때까지 증상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우연히 안과 검진으로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안구 안쪽에 생기는 암 중 가장 흔한 것은 전이성암이다. 다른 장기에 생겼던 암이 피를 타고 와서 눈 안에 퍼지는 경우이다.

정 안과장은 "정말 드물지만 눈에서 먼저 발견이 되고 원발성 장기암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전이성암 외에 자주 발생하는 안구내암은 맥락막흑색종이다. 

정수경 안과장은 "맥락막흑색종은 우리나라 통계상 인구 100만명 당 0.6명이 생길 정도로 아주 희귀한 암"이라며 "예전엔 안구적출, 즉 눈을 제거하는 것이 치료방법이었지만 최근엔 여러 치료 방법이 개발되면서 수술적으로 종양만 제거하기도 하고 양성자치료나 방사선치료, 근접치료와 같은 여러 국소치료를 병행한다"고 했다. 

눈 밖에 생기는 암 중 가장 흔한 것은 림프종인데, 림프종은 예후가 좋은 암에 속한다.

정 안과장은 "조직검사를 통해 림프종이 진단되면 더 이상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고 방사선치료를 하게 되는데 방사선치료만으로도 크기를 거의 90% 급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치료 성과가 좋다"고 말했다. 

눈을 둘러싸고 있는 안구 주변 조직에 생기는 암도 있다. 안구 주변의 피부와 피부 안쪽 연부조직에도 암이 생길 수 있는 까닭이다. 

대표적으로 눈꺼풀 피부에 생기는 암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든 피부암이 다 생길 수 있다. 즉, 기저세포암, 피지샘암, 편평세포암, 드물게는 흑색종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 정수경 안과장의 설명이다. 

눈꺼풀 피부 안쪽에 생기는 연부조직암은 붓거나 눈이 튀어나오는 증상을 초래한다. 정 안과장은 "눈꺼풀 피부는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빨리 발견돼 진단도 빠르고 치료도 빨리 이뤄진다"며 "거의 대부분 생존율이 95% 이상"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