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 막히거나 터지는 뇌졸중 직접 원인
심장 두근거림 증상 있다면 치료 받아야
# 사업가 박모(61) 씨는 최근 갑작스러운 뇌졸중으로 입원했다. 술을 자주 마셨던 박 씨는 2년 전에도 고혈압으로 치료받고 있던 병원에서 심방세동 부정맥으로 진단받았다. 치료를 권유받았지만 특별한 불편함이 없었고, 일에 바빠 병원 방문을 미루고 있었다.
박 씨의 뇌졸중은 고혈압과 평소 잦은 음주에 의한 ‘심방세동’이 중요 원인을 제공했다. 박 씨가 부정맥으로 불편한 증상이 있었다면 병원 치료를 미루지 않았을 것이고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다.
‘부정맥’은 심장에서 만들어진 맥박이 지나치게 빠르거나 느리거나 맥박 간격이 불규칙한 모든 맥박을 포함한다. ‘맥이 가지런하지 않다’는 의미로 부정맥(不整脈)이라고 한다. 부정맥은 특정 질환을 가리키는 표현보다 넓은 의미로 바르지 않은 맥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심방세동(心房細動)은 부정맥의 일종으로 뇌졸중을 주로 일으킨다. 심방세동은 여러 부정맥 가운데 하나로 ‘심방이 가늘게 움직인다’는 뜻이다. 심장은 심방과 심실이라는 방으로 구성돼 있다.
부정맥은 심방과 심실 모든 곳에서 생기고, 심방세동은 그중 심방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정맥이다. 심방의 불규칙한 움직임은 심장 내 혈액 응고를 촉진한다. 이로 인해 작은 혈전이 뇌혈관으로 이동해 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이 발생한다.
심방세동이 장기적인 뇌졸중과의 연관성이 있음에도 많은 심방세동 환자들은 치료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다. 이유는 심방세동이 두근거림이나 숨이 찬 증상 같은 뚜렷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 것과 연관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증상이 있는 심방세동에 비해 증상이 없는 심방세동 환자는 장기적인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심방세동 치료는 조기에 시행해야 결과도 좋다. 심방세동은 더 나쁜 심방세동을 지속해 만드는 악순환을 보이기 때문이다.
심방세동은 우선 약물로 치료한다. 항 부정맥제재나 뇌졸중 예방을 위해 혈전 혈성을 막는 항 혈전제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항 부정맥 제는 모든 심방 세동 발생을 완전히 막아 줄 수 없어 재발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술적 치료 방법으로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을 이용해 치료한다. 이 치료는 심방 내에 생기는 심방세동의 전기적인 신호 발생 부위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카테타를 이용하며 태워 버리는 치료다. 항 부정맥 약물치료에도 재발하는 심방세동 환자에게 효과가 좋다. 입원 기간도 짧고 회복도 빠르다.
항 응고제는 심방세동 환자에게 중요한 뇌졸중 예방 효과가 좋다. 하지만, 출혈 위험을 가지고 있어 항 응고제를 사용할 수 없는 출혈 환자나 항 응고제 사용에도 뇌줄중이 재발하는 환자에게 좌심방이 폐색술과 같은 시술적 치료도 가능하다.
대전선병원 심장혈관센터 심장내과 백주열 전문의는 “심방세동은 매우 재발을 잘하고, 만성적인 부정맥의 일종”이라며 “증상이 심하지 않다고 치료를 미룰 수 있는 질환이 아닌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의대 정원 증원 정책으로 의료 둑 무너질 위기…지지대 빨리 대야"
- 발바닥 아프다고 무턱대고 ‘족저근막염’ 하면…일 난다
- 노바티스, '일라리스' 이의신청으로 약평위 재도전 나섰지만…
- 尹 대통령·박단 전공의 135분 면담…열악한 처우·근무 여건 설명
- 공보의·군의관 파견 한 달 연장…암 진료협력병원도 47곳 신규 지정
- DTC 유전자검사항목 26개 확대…꽃가루·계란 과민반응도 포함
- 암치료 끝났으니, 술 마셔도 괜찮다?…암환자 음주에 대한 오해와 진실
- 尹 만나는 대전협 박단 비대위원장…醫 "결과 지켜볼 것"
- 비만 신약 개발 최신 화두 “체중 감량 더불어 근육량 유지 관건”
- 정치권서 잇따라 '의대 2천명 증원' 尹 질타…"너무 실망"‧"비현실적"
- "尹 담화, 몰이해와 본질 호도뿐"…'빨간펜' 든 서울의대 교수들
- 브라이언 유튜브와 함께 불고 있는 ‘청소 열풍’…주의할 것도 많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