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치료제 버제니오 급여 적용 촉구 청원에 7327명 동의
릴리의 CDK 4&6 억제제 ‘버제니오’(성분명 아베마시클립)의 조기 유방암 보험급여 적용을 촉구하는 국민동의청원이 올라왔다.
버제니오는 CDK 4&6 억제제로서는 최초로 HR+(호르몬 수용체 양성)/HER2-(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 음성), 림프절 양성의 재발 고위험 조기 유방암으로 적응증을 확대한 신약이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버제니오와 내분비요법과의 병용요법이 HR+/HER2- 유형 림프절 양성의 재발 위험이 높은 조기 유방암이 있는 성인 환자의 보조 치료로 승인받았다.
이에 릴리는 버제니오 급여 확대에 나섰으나, 올해 5월 임상적 유용성 근거 불충분을 사유로 약제 급여의 첫 단계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암질환심의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한 차례 고배를 마신 릴리는 5개월 후인 지난 10월 심평원에 급여 신청서를 다시 제출한 상태다.
특히 버제니오는 최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3)에서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평가한 3상 임상 monarchE 연구의 장기 데이터로 재발 예방 효과가 확인 돼 주목 받은 바 있다.
최근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조기 유방암 표적치료제 버제니오 급여 등재를 촉구하는 청원이 동의 안건으로 올라왔다. 오는 30일까지 진행되는 해당 안건에 현재 7,327명이 동의했다.
아내가 유방암을 앓고 있다는 청원인은 “아내는 호르몬 양성 3기 환우다. 현재 치료제는 타목시펜 하나뿐인데 지난해 11월 표적치료제인 버제니오가 나오면서 우울하고 답답한 마음에 한줄기 빛과 같은 희망이 보였다”며 “문제는 2년 동안 복용해야 하는 비급여 신약인데 치료비용이 5,000만원 정도”라고 말했다.
청원인은 “지난 2019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유방암의 조기 유방암은 92.2%를 차지한다. 문제는 유방암이 재발률이 높은 것인데 내분비요법 치료 후 재발률은 14~23%였으며 진단 후 첫 1~2년 내 재발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5년 생존율은 림프절 전이가 발생한 경우 21%까지 낮아지기도 한다”고 했다.
청원인은 “조기 유방암 치료 포인트는 수술보다 수술 후 보조치료인데 버제니오가 조기 유방암 환자 수술 후 보조요법 옵션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지만 문제는 너무 비싸 엄두도 못내는 환우들도 많다. 하루속히 급여로 바꿔 재발로 힘들어 하는 환우들의 빛이 돼 달라”고도 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헬스로그 명의] 골연골종증 탓 휜다리, 성장판 닫히기 전 교정치료를
- 수급불안정 소아 천식·기관지염 치료제, 내달부터 약가 인상
- 인체 어디에든 생기는 관절염…‘고관절 관절염’, 엉덩이 통증 초래
- 알츠하이머병 유발인자의 독성 촉진하는 단백질 발굴
- 난청 유발 희귀질환 '아가미-귀-콩팥증후군', 청력수술 승패 요인 찾았다
- 간암선별검사로 알파태아단백 불필요?…"간암 생존율 높이는데 도움돼"
- 5080 한국인 16% ‘렘수면행동장애 전 단계’…치매·파킨슨병 등 위험↑
- 빅시오스·트로델비, 암질심 통과…브루킨사, 삼수만에 급여확대 성큼
- “포털사이트 한방·요양병원 및 블로그 게시물, 상당수가 광고성 글”
- 마라톤과 같은 당뇨병 관리…'이 책' 한권만 있으면 완주 가능
- 젊어지는 고혈압 환자에 ‘초긴장’…20~30대 고혈압 최근 5년간 22%↑
- 겨울철 차 안에 귤껍질을 잘 닦아 놓아두면 좋은 이유
- 항암치료 중 '기미' 잘 생기는 이유…피부 표면에 늘어난 멜라닌세포 탓
- 유방암 신약 '피크레이', 한국선 비운의 치료제되나
- 충남대병원, 권역정신응급의료센터 개소
- 림프부종 치료법으로 VEGF 농도 차 이용한 림프관 재생 시도
- 인하대병원, ‘위암 바로 알기’ 건강 공개강좌 실시
- 찬바람에 ‘찌릿찌릿’ 시린 이…치주질환·치경부 마모증 등 원인 다양
- 잠이 뇌 청소부?…치매 연구진이 최근 '수면'에 관심 보이는 이유!
- 정상체중으로 태어났는데, '성장장애'…국내 의료진, 원인 유전자 규명
- 암 환자에 희망 선사하는 ‘I’m(암) OK스트라-희망을 품은 하모니’ 성료
- 코로나19 치료제 급여화, 환자 피해 없이 연착륙 하려면?
- [BOOK소리] 100세 시대 온몸 부위 별 '노화시계'에 대한 고찰
- 충남대병원, 암병원 건립 위해 사전타당성 조사 추진키로
- 순천향대부천병원, 660·550·540g ‘초극소 미숙아 세쌍둥이’ 치료 성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