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보다 여성, 고령보다 젊은층에 장내 유익균 더 많아
인체에 유익한 세균으로 알려진 유산균과 낙산균이 대장암, 대장선종을 비롯한 대장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국내 의료진의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남성보다 여성에게, 고령보다 젊은층에게 대장암 등 대장질환 발병 위험이 낮은 이유도 추가로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송진희 교수 연구팀이 대장암, 대장선종 등 대장질환의 발병률이 낮은 여성과 55세 이하 젊은 연령대에서 유산균(젖산균), 낙산균 등 장내 유익균이 많다는 사실을 연구를 통해 규명했다고 8일 밝혔다.
최근 발표된 ‘2021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의 한 해 발생자 수는 3만2,751명으로 폐암을 제치고 국내 발병률 2위를 기록했다. 이는 발병률 1위인 갑상선암(3만5,303명)에 근접한 수준으로, 2019년 4위였던 점을 고려하면 아주 가파른 성장세다.
이러한 대장암의 발병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가족력, 흡연 여부, 식습관 등이 있는데, 특히 여성보다 남성에서 발병률이 약 2배 높고, 발생 위치에도 차이가 있어 성호르몬이 발병 기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대장 내 미생물 환경을 조성하는 ‘장내 세균’이 대장암 발병에 직간접적인 역할을 미친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암 발병의 원리와 치료법을 밝혀낼 단서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고 동물실험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연구팀은 성차·연령 등의 요인과 장내세균총의 변화, 그리고 대장암 발병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해 실제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에는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대장선종 및 대장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대변 데이터가 사용됐다.
그 결과, 대장선종이나 대장암을 앓는 환자보다 그렇지 않은 건강한 대조군에서 장내 유익균이 유의미하게 많았으며, 특히 ▶여성 ▶55세 이하 연령에서 각각 유산균(젖산균)과 낙산균 분포가 두드러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통계적으로도 남성, 고령에 비해 대장암 발병 위험이 낮은 집단인데, 유산균, 낙산균 등 장내 유익균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연구팀의 분석이다.
이번 연구는 장내 세균과 대장선종, 대장암 발병의 관계에 있어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까지 심도 있게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연구 결과에 따라 성별에 따른 유익균 분포를 반영해 유산균 등과 대장 질환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한다면, 대장암을 억제하는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도 진전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나영 교수는 “여성의 대장암 발병률은 남성의 절반 수준”이라며 “건강한 여성의 장내세균총에서 발견되는 유익균을 분석해 대장암 예방 및 치료제를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향후 연구 방향을 밝혔다.
관련기사
- [신년특집] '오늘만' 버티는 신생아중환자의료…'서울보다 어려운 지방'
- 추운 겨울철이면 소변장애 괴로움 더 호소하는 '전립선비대증’
- “2024년 건강하세용(龍)”…갑진년이 ‘값진년’이 되는 건강체크 리스트
- 방치하면 숨쉬기 힘들어 삶의 질 떨어뜨리는 만성 질환 ‘천식’
- 내 아이 간수치가 왜 높지?…간 망가뜨리는 '윌슨병' 의심해야
- 겨울철 아이가 토하는 이유…"백발백중 노로바이러스감염!"
- 출산 전 찔끔찔끔 '요실금', 출산 후에도!…요실금, 대체 언제 없어지나?
- 아이들 척추가 휘는 ‘소아척추측만증’…겨울방학이 치료 적기
- 신체활동 적고 앉아 생활할수록 ‘만성 신장병’ 발병 위험 커져
- [송교영의 위암 올댓가이드] 한때 버려진 위암수술법, 최근 다시 활발해진 이유
- [신년특집] 암치료인데 횟수 제한?…해외원정치료 유도하는 '규제' 문제
- 전이성 대장암 표적치료제 '세툭시맙' 치료 결과 예측 길 열려
- 한국인의 교육성취도, 유전이 얼만큼 영향을 미치나 봤더니‥
- 순천향대천안병원 양광익 교수, 제15대 대한수면학회 회장 취임
- 고도근시를 반드시 막아야 하는 이유…녹내장‧백내장‧황반변성 등 초래
- 국내의료진, '나노봇'으로 뇌졸중·척수손상 합병증 치료 가능성 확인
- 응급실 진료가 두려운 의사들…이대로는 응급의료체계 붕괴
- 올해말 초고령사회 진입…50세 이상 2명 중 1명 ‘골감소증’ 환자
- 아시아 최초 방사선 치료기 ‘헬시온 하이퍼사이트’ 도입한 아주대병원
- 명지병원, ‘간암 권위자’ 국립암센터 박중원 교수 영입
- 난치성 피부질환 '주사피부염', JAK억제제 효과 검증 이뤄진다
- 극희귀질환 등 산정특례 등록 가능 의료기관, 올해 1월 2곳 추가
- 전립선암 '방사선치료' 뒤 6개월 지났는데…이제 방사선치료 부작용이!
- 소아 인공와우 이식 효과…이식 아동, 성장 후 교육·직업 일반인과 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