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원철 센터장 “중증진료 체계 강화 위한 디지털 혁신 결과"
삼성서울병원은 지난해 9월 도입한 로봇업무자동화(RPA) 접목 의무기록사본 온라인 자동발급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이 시스템 도입으로 하루가 걸리던 온라인 의무기록사본발급 시간이 1시간으로 단축됐다.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사람이 반복적으로 처리하는 업무를 인공지능(AI)이 결합된 소프트웨어 로봇을 통해 자동화하는 기술을 말한다. 수작업 오류를 감소시키고 업무 생산성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앞서 지난 2019년 국내 의료기관 중 최초로 병원 PC 홈페이지를 통한 의무기록사본 발급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2022년 10월에는 모바일 발급 서비스도 국내 처음으로 제공했다.
이번에 구축한 시스템도 국내 최초로 RPA를 의무기록 온라인 사본발급 시스템에 적용한 사례로 꼽힌다.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해 온라인 신청 내용 확인부터 PDF 생성 및 업로드까지 RPA가 자동으로 수행하며, 담당자가 발급 내용을 최종 점검한 후 완료하는 방식이다.
RPA 도입 이후 하루 정도 걸리던 온라인 발급이 신청 당일 1시간 이내 발급으로 바뀌었다. 창구 방문 고객들의 업무 처리 또한 빨라져 평균 대기시간도 5분으로 단축됐다.
병원은 향후 RPA 적용을 고도화해 실시간에 가깝게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온∙오프라인 모두 사본발급 대기로 인한 고객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환자 편의성 및 만족도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증진료체계 강화를 위한 케어 네트워크(Care-network)에도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디지털 기술의 적극적인 도입으로 의무기록 사본 발급과 같은 고난도 업무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동화 구현이 가능함을 보여줌으로써, 다양한 병원 업무에 적용 시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스템 구축을 주도한 차원철 데이터혁신실 센터장(응급의학과 교수)은 “AI 기술을 접목한 최첨단 디지털 기술이 업무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며 “삼성서울병원이 작년 말에 국내 최초로 도입했던 의무기록 사본 모바일 PDF 발급 서비스와의 시너지가 성공의 열쇠라고 생각한다. 삼성서울병원이 추구하는 중증진료체계 강화를 위한 디지털 혁신의 또 하나의 선도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중음성유방암 환우들 목소리, 국회 닿았다…트로델비 급여 청원 성립
- 13년만에 등장한 HER2 양성 위암 1차 치료 옵션…‘키트루다 병용요법’
- 여성 갱년기 안면홍조‧불면증이 다는 아냐…참기 힘든 ‘피부건조증’
- 피곤‧무기력감‧식욕감퇴‧불면…‘신장’이 보내는 구조 신호들
- 하품하다가도 턱에서 ‘뚜둑’ 소리나고 통증 느끼면…‘턱관절 장애’
- 엔허투 급여에 제동 걸리자 절망감 토로하는 유방암 환자들
- 디지털치료기기, 어떻게 처방하고 쓰일까…연세의료원, 첫 시연회 열어
- 재발 잦은 ‘다발골수종’…치료 성적 개선 실마리 된 ‘이중특이성항체’
- 소아환자 응급실 이중 전원 원인 ‘보호자 요청’…체류시간 길어져 문제
-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 ‘건강보조식품’을 잘 먹는 방법
- 일가족 비극의 이유 소아 ‘1형 당뇨병’…최근 4년 26% 늘어
- 수술 전 항암-방사선치료만으로 '직장암' 10~15% 완전히 사라진다?!
- 자궁경부암검사, 임신 중엔 이상無…출산 뒤엔 '암 전단계'로 나온 이유
- 5년 재발률 0% '국산 급성골수성백혈병 신약' 개발 가속화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