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디스크 탈출증’ 등 턱관절 장애 방치 시 만성화…조기 치료 중요
일상생활을 하면서 대화하거나 하품할 때 또는 음식을 먹기 위해 입을 크게 벌리다가 턱관절에 얼얼한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또는 ‘틱’하는 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다. 드물게 나타나면 괜찮다. 하지만, 반복적으로 지속하면 ‘턱관절 장애’일 수 있어 전문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턱관절 장애는 머리뼈와 아래턱 사이에 있는 관절‧인대와 주위 근육,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턱관절 부위에 문제가 생긴 경우를 말한다. 턱관절 내 디스크가 원래 위치에서 탈출하면 ‘턱디스크 탈출증’이라고 한다.
턱디스크 탈출증을 포함한 턱관절 장애는 과도한 사용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다. 딱딱한 음식을 즐겨 먹거나 한쪽으로 씹는 습관, 껌 씹기, 턱 괴기, 손톱 물어뜯기 등 턱관절에 무리가 가는 행동이 원인으로 나타난다.
요즘처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혈관과 근육이 수축하면서 턱관절 통증이 악화한다. 특히 턱관절에 잡음이나 통증이 있어도 대부분 초기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아 방치하기 쉽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두통‧이명과 안면 비대칭, 개구장애 같은 다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
평소와 다르게 입이 크게 벌려지지 않거나, 어금니를 물었을 때 관절에 통증이 있고, 턱이 자주 빠지는 느낌이 있으면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입을 크게 벌리면 ‘뚜둑’ 소리가 나고, 잦은 두통과 귀안이 간지러운 증상이 있어도 마찬가지다.
턱관절 장애 초기 치료는 약물‧물리치료와 도수치료, 프롤로 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프롤로 주사’는 통증이 있는 부위 관절 인대나 힘줄에 고농도 포도당을 주입해 만성 통증을 완화하고, 자가조직 치유 반응을 유발해 손상된 조직이 자연스럽게 치유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치료다. 신의료기술평가에서 안전‧유효성을 인정받아 통증 치료 완화에 쓰이고 있다.
개포민마취통증의학과 주성민 원장은 “턱관절 장애는 단순히 턱 주변 문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면 턱 주변은 물론 신체 전반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빨리 원인을 찾아 맞춤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턱디스크 탈출증을 비롯한 턱관절 장애는 생활습관에서 비롯되는 증상이 많은 만큼 치료 후에도 생활습관 개선 노력으로 재발방지에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엔허투 급여에 제동 걸리자 절망감 토로하는 유방암 환자들
- 디지털치료기기, 어떻게 처방하고 쓰일까…연세의료원, 첫 시연회 열어
- 재발 잦은 ‘다발골수종’…치료 성적 개선 실마리 된 ‘이중특이성항체’
- 재발한 폐 점액성 선암, 국소치료 하면 생존율 높이는데 효과적
- 노쇠할 때 오히려 '건강앱' 사용↑…운동량 측정·건강정보 습득 비율多
- 소아환자 응급실 이중 전원 원인 ‘보호자 요청’…체류시간 길어져 문제
- 안경 탈출 시력교정술에 지는 스마일라식과 뜨는 ‘스마일프로’
-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 ‘건강보조식품’을 잘 먹는 방법
- 삼중음성유방암 환우들 목소리, 국회 닿았다…트로델비 급여 청원 성립
- 삼성서울병원, 온라인 의무기록발급에 AI 기술 접목…1시간만에 발급
- 유전성 자궁내막암, 유전자검사 아닌 면역조직화학검사로 1차 선별을
- 5년 재발률 0% '국산 급성골수성백혈병 신약' 개발 가속화된다
- 서울대병원 의료진, 새 탈모 치료 전략 제시…'ALDH2 활성화' 효과
-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로 인구감소 지역…당뇨병 관리 공백 유의해야
- 올해 7월 의료기관 전체 병동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가능해진다
- LG화학, '두경부암 신약' 임상 3상 돌입…2028년 美 출시 계획
- 75세 이상 고령 위암 환자, 과체중보다 저체중일 때 사망 위험 더 높아
- 널뛰는 심장 '심방세동', 과음 때 알코올 대사능력 낮을수록 위험 UP
- 인하대병원-인천의료원, 원격 중환자 관리 시스템 구축 완료
- 가수 김용필 팬클럽, 서울대어린이병원 후원금 전달
- 목 아파서 목디스크인줄 알았는데…후종인대골화증?
-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내달 2일 '암 정밀 국제 심포지엄’ 개최
- 치아·구강조직 대변혁시기 '성장기'…내 아이 구강건강관리 올댓가이드
- 장염 유발 '노로바이러스'에 온갖 '호흡기바이러스'까지 유행
- 비급여 이용하는 만큼 실손보험료 할증…최대 300%까지 인상
- 코로나 팬데믹 중 일상회복 논하던 때 '독감' 환자 9000% 넘게 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