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있는데도 쓸 수 없어…절망감으로 힘든 시간 보내"
한유총회, 엔허투 재심의 결정에 입장문 내고 급여화 촉구
환자·가족들과 함께 서명운동 진행…"목소리 닿을 때까지 지속"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가 급여권 문턱에서 또다시 제동이 걸리자 유방암 환자들과 가족들이 절망감을 호소하며 급여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급여화가 관철될 때까지 서명운동에 들어가겠다는 방침이다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회장 곽점순)는 16일 엔허투 급여화를 촉구하는 성명문을 발표하고 3,000여명의 한유총회 회원들과 30여만명의 유방암 환자 및 그 가족들은 조속한 엔허투 급여화를 위해 서명운동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유총회는 성명문을 통해 "그동안 유방암 환자들은 정부의 의지를 믿고 기다려 왔는데 지난 1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는 엔허투에 대해 ‘재심의’ 결론이 내려졌다"면서 "이 상황을 믿을 수 없으며, (급여를)기다려온 우리 회원 및 환자 가족들의 실망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라고 토로했다.
한유총회는 "엔허투로 치료를 받으면 기존 치료제 대비 4배 이상 질병 진행 없이 삶을 살 수 있다"며 "때문에 엔허투 치료 대상이 되는 환자들은 하루하루 엔허투를 투여받고 싶은 간절함과 치료제가 있는데도 쓸 수 없다는 절망감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지난해 엔허투 급여에 대한 국민동의 청원이 있었고 청원 사흘 만에 국민적 관심과 지지를 얻어 5만 명의 동의를 달성, 국회에서도 보건복지부에 공식적으로 엔허투에 대한 조속한 처리를 요청한 바 있다"며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엔허투 급여에 또다시 제동이 걸린 상황에 대해 우리 한유총회는 더 이상 정부의 의지를 믿고 기다릴 수만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에 한유총회는 "국내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전국의 환자 및 가족들과 함께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환자들의 목소리가 닿을 때까지 정부와 사회에 호소하겠다"고 했다.
한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 11일 2024년 제1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를 열고 엔허투의 급여 적정성을 심의했다. 이날 약평위는 재심의 결정을 내리고 한국다이이찌산쿄에 재정분담(안) 보완을 요청했으며 2월 약평위에서 재논의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엔허투' 약평위 통과 쉽지않네…재정분담안 보완해 내달 재심의
- [칼럼] 차세대 항암제 ‘항체약물접합체’가 지닌 숙제
- 유방암 신약 '피크레이', 한국선 비운의 치료제되나
- 심평원, 유방암 고가신약 ‘엔허투’ 급여에 속도 내나…내달 심의 본격화
- [창간특집] "암 치료인데"…의사 아닌 환자가 치료법 결정?
- [창간특집] 삼중음성유방암의 역설…급여 신약 하나라도 있어야
- "경제적 파탄 물론 생을 포기하기도" 피크레이 급여 촉구 유방암 환자들
- 유방암치료제 '엔허투', 캐싸일라 대비 사회경제적 편익 2600억원 달해
- 유방암 신약 '엔허투·트로델비', 누구에게 쓰는 게 맞을까?
- 하품하다가도 턱에서 ‘뚜둑’ 소리나고 통증 느끼면…‘턱관절 장애’
- 여성 갱년기 안면홍조‧불면증이 다는 아냐…참기 힘든 ‘피부건조증’
- 13년만에 등장한 HER2 양성 위암 1차 치료 옵션…‘키트루다 병용요법’
- 삼중음성유방암 환우들 목소리, 국회 닿았다…트로델비 급여 청원 성립
- 삼성서울병원, 온라인 의무기록발급에 AI 기술 접목…1시간만에 발급
- 유전성 자궁내막암, 유전자검사 아닌 면역조직화학검사로 1차 선별을
- 5년 재발률 0% '국산 급성골수성백혈병 신약' 개발 가속화된다
- 서울대병원 의료진, 새 탈모 치료 전략 제시…'ALDH2 활성화' 효과
-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로 인구감소 지역…당뇨병 관리 공백 유의해야
- 올해 7월 의료기관 전체 병동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가능해진다
- LG화학, '두경부암 신약' 임상 3상 돌입…2028년 美 출시 계획
- 신약 급여 지연 뭇매에 심평원 "제약사 완결성 있는 자료제출 필요"
- 75세 이상 고령 위암 환자, 과체중보다 저체중일 때 사망 위험 더 높아
- 널뛰는 심장 '심방세동', 과음 때 알코올 대사능력 낮을수록 위험 UP
- 인하대병원-인천의료원, 원격 중환자 관리 시스템 구축 완료
- 가수 김용필 팬클럽, 서울대어린이병원 후원금 전달
- 목 아파서 목디스크인줄 알았는데…후종인대골화증?
-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내달 2일 '암 정밀 국제 심포지엄’ 개최
- 치아·구강조직 대변혁시기 '성장기'…내 아이 구강건강관리 올댓가이드
- 장염 유발 '노로바이러스'에 온갖 '호흡기바이러스'까지 유행
- 비급여 이용하는 만큼 실손보험료 할증…최대 300%까지 인상
- 코로나 팬데믹 중 일상회복 논하던 때 '독감' 환자 9000% 넘게 늘었다
- 엔허투 급여 촉구 나선 6451명 환자·보호자들…심평원에 서명서 전달
- 환자들의 호소 통했나…엔허투·일라리스, 약평위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