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DH2 활성화, 산화 스트레스 완화…머리카락 성장기 유도
ALDH2 활성화제, '미녹시딜 도포제'와 유사한 효과 나타나
국내 의료진이 안드로겐성 탈모, 노화성 탈모 등 다양한 탈모증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해 관심이 집중된다.
미토콘드리아 내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2, Aldehyde Dehydrogenase2)를 활성화히면 '휴지기' 모낭을 '성장기' 모낭으로로 전환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대병원은 피부과 권오상 교수 연구팀(이승희 박사)이 ALDH2의 효과적인 활성화를 통해 세포 내 에너지 대사와 ATP(Adenosine Triphosphate) 생산을 촉진해 모발 성장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ALDH2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독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중요한 효소로 작용하며,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가 탈모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ALDH2의 모발 성장 및 산화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ALDH2 활성화제(Alda-1)를 활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 결과, 모낭의 ALDH2 활성도는 주로 머리카락을 생성하는 모낭상피세포층에서 발현되며, 휴지기에는 발현이 미미하다가 성장기로 전환되면서 발현이 크게 증가해 모발 성장기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ALDH2 활성화는 모낭에서의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통해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전환에 필요한 에너지 대사에 기여하는 ATP 생산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과도한 활성산소를 감소시키며 독성 산화 알데하이드(4-HNE, MDA)를 제거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간 모낭 기관배양 실험과 마우스 실험 결과에서도 ALDH2 활성화가 머리카락의 길이 성장을 유의하게 촉진하고, 성장기로의 진입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효과는 미녹시딜 도포제와 유사한 정도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줬다.
또한 ALDH2 활성화가 모낭 형성과 유지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베타카테닌(β-Catenin)의 증가를 유도함으로써 안드로겐성 탈모 뿐만 아니라 노화성 탈모 등 다양한 탈모증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전환점을 제시하고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권오상 교수는 “이번 연구는 ALDH2 활성화가 모낭에 미치는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모발 성장 주기에서 성장기 단계 유도를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탈모 치료 분야에서의 혁신적 접근법을 모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더 나은 탈모 치료법의 개발과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유전성 자궁내막암, 유전자검사 아닌 면역조직화학검사로 1차 선별을
- 삼중음성유방암 환우들 목소리, 국회 닿았다…트로델비 급여 청원 성립
- 13년만에 등장한 HER2 양성 위암 1차 치료 옵션…‘키트루다 병용요법’
- 여성 갱년기 안면홍조‧불면증이 다는 아냐…참기 힘든 ‘피부건조증’
- 피곤‧무기력감‧식욕감퇴‧불면…‘신장’이 보내는 구조 신호들
- 하품하다가도 턱에서 ‘뚜둑’ 소리나고 통증 느끼면…‘턱관절 장애’
- 엔허투 급여에 제동 걸리자 절망감 토로하는 유방암 환자들
- 디지털치료기기, 어떻게 처방하고 쓰일까…연세의료원, 첫 시연회 열어
- 소아환자 응급실 이중 전원 원인 ‘보호자 요청’…체류시간 길어져 문제
- 일가족 비극의 이유 소아 ‘1형 당뇨병’…최근 4년 26% 늘어
- 수술 전 항암-방사선치료만으로 '직장암' 10~15% 완전히 사라진다?!
- 자궁경부암검사, 임신 중엔 이상無…출산 뒤엔 '암 전단계'로 나온 이유
- 새해 ‘몸짱’ 의욕 앞서다 오히려 근육 녹는 ‘횡문근융해증’ 올수도
- [SCL의 헬스talk] 위·대장내시경 시 '조직 검사' 동의서 꼭 필요할까
- 저녁부터 '컹컹' 기침하던 아이, 자다 숨 '꺽꺽' 댄다?…"이땐 바로 119를"
- 시력 앗아가는 유전성 뇌종양?…신경섬유종증 동반 뇌종양 '시신경교종'
-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로 인구감소 지역…당뇨병 관리 공백 유의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