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자본주의의 쇠락과 획기적인 변신이 필요하다는 주장들이 많이 나온다. 특히 "월스트릿을 점령하라(occupy wallstreet)" 시위에서 보듯이 자본주의의 꽃을 피운 나라인 미국에서 최근 그런 주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 과거의 일부가 주장했던 때와는 그 상황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시장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자본주의의 기초척인 원리는 합의만 잘 이뤄지고, 공정한 경쟁 및 공공의 이익에 대한 고려만 잘할 수 있다면 현재까지 인간들이 발견한 가장 좋은 체계라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사람들이 동의를 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의 자본주의가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들의 태도이다. 기업들이 지나치게 이윤을 추구하고, 모든 것이 이익추구를 위한 공통의 목표로 달려간다는 모토를 변경할 수 있다면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 이것이 이상론이라고 생각하기 쉽겠지만, 최근에는 실제로 이런 변화를 몸소 실천하는 기업들도 나오고 있다. 이들이 이룬 성과가 슬슬 객관적인 지표와 사례로 발표되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에 대한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듯하다.

글로벌 홍보 대행사인 버슨-마스텔러에서 2012년 발표한 글로벌기업평판인덱스(Global Corporate Reputation Index)는 6개국의 6,000개의 회사에 대해 4만명의 소비자 인터뷰를 통해 작성됐는데, 전반적으로 공익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기업들이 높은 점수를 차지하는 corporate citizenship 분야의 상위권 기업들이 시장에서도 크게 성공하고 있으며, 높은 평판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윤리적인 기업의 순위를 발표하는 Ethisphere의 리포트에 따르면, 2012년 보다 윤리적인 경영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 기업들이 S&P 500 지수에 들어가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동종업계의 경쟁자들에 비해 지난 3년간 기업가치가 40% 정도 높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도 윤리적인 경영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지표라 하겠다.

또 한 가지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인재들이 선호하는 기업의 조건이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린 랜카스터(Lynne Lancaster) 등이 집필한 "The M Factor: How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Rocking the Workplace" 라는 책에 따르면, 밀레니엄 세대(1982~2000년 출생)들은 직업과 직장을 선택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에너지와 혁신, 그리고 자신들의 직업의 목표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라고 한다. 물론 과거와 같이 높은 연봉과 좋은 직장상사도 중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일하는 것의 의미와 목표를 더욱 중시하는 것이 이전 세대와 크게 달라진 점이다.

또한, 일자리와 관련해 가장 권위 있는 인덱스를 제공하는 Kelly Global Workforce Index에서 젊은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반수가 넘는 사람들이 "보다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을 하기 위해서 기꺼이 월급을 덜 받거나, 역할이 적어지는 것을 받아들이겠다"고 응답했다는 것도 이런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한다고 하겠다.

공익이라는 것은 흔히 정부나 NGO들이나 챙기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기업들이 훨씬 공익을 잘 챙길 수 있다. 기업들은 유통과 혁신에 대하여 익숙하며, 문제를 풀어내는 것으로 커다란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 만약 기업들이 사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으로 가치를 만들어내고 이를 공유하는 새로운 비전을 세운다면 자본주의의 미래는 달라질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음미할만한 이론은 하버드 대학의 경제학자인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와 마크 크레이머(Mark Kramer)가 최근 주장하고 있는 CSV(Creating Shared Value, 공유가치창조)이다. 단기적인 이익을 위해서만 투자하기보다, 중장기적이지만 가장 근본적인 사회적인 가치를 위해 공헌하고 이를 공유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