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폐암유발단백질 USE1을 표적해 분해하는 리보핵산(RNA) 입자를 개발했다.

이창환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와 이종범 서울시립대 교수 연구팀은 폐암 발생과 증식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USE1)을 표적으로 하는 간섭RNA 나노구조체를 디자인하고, 동물모델을 통한 항암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간섭 RNA를 이용해 질병의 원인단백질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암 예방·치료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RNA는 체내에서 분해되기 쉬워 활용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폐암유발단백질 USE1을 표적으로 하는 짧은가닥 간섭 RNA를 디자인하고 이를 표적부위까지 도달할 수 있는 나노입자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먼저 불안정한 RNA가 분해되지 않고 표적에 잘 도달하도록 복제효소를 이용해 간섭RNA 가닥을 대량으로 증폭하고, 이 가닥들이 엉기면서 자가조립되는 방식으로 나노구조체를 합성했다.

이후 세포 내로 들어가기 용이한 크기와 세포 내에서 간섭RNA 방출에 유리하도록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제작했으며 특히 세포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절단효소를 이용해 RNA 가닥들이 선택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반복되는 간섭RNA 사이사이에 서로 달라붙지 않고 버블형태로 존재하는 부위를 도입해 절단효소에 의한 방출효율을 높였다.

연구팀은 실제 사람의 폐암조직이 이식된 쥐에 합성된 간섭RNA 기반 나노구조체를 투여한 결과 이식된 종양의 크기가 작아진 것을 확인했다. 폐암유발단백질인 USE1이 만들어지지 않는 인간종양세포주(HeLa 및 A549)에서의 결과가 동물모델에서도 재현된 것이다.

연구팀은 나아가 이러한 간섭RNA의 항암효과가 무분별하게 분열하는 암세포의 분열정지와 세포사멸 유도에 따른 것임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