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 미디어의 힘이 강해지면서, 새로운 저널리즘의 시대가 빠르게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이러한 변화에 뛰어든 개인들도 있고, 가능하면 이런 종류의 변화가 확산되지 않기를 바라면서 미적거리는 보수언론들도 있지만 결국 이들이 경쟁을 하게 되는 것은 필연적인 수순이라 하겠습니다.  어느 쪽이든, 새로운 시대가 오고 있다면 새시대에 걸맞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해야하는 법이지요?  그렇다면 이런 새로운 저널리즘의 시대에 경쟁력을 가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미디어에 대한 수동적 소비자가 아닌 적극적 사용자로의 변화


가장 중요한 차이는 이제 더 이상 미디어에 대한 수동적이고 일방향적인 소비자로서의 대중보다는 적극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하는 사람이 늘어간다는 점일 듯 합니다.  이런 시대에 경쟁력있는 저널리즘이 되기 위해서도 미디어에 대한 적극적인 이용자가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수의 미디어 제공자와 다수의 소비자로 규정되었던 사회가, 다수의 제공자와 소비자의 형태로 바뀌면 자연스럽게 미디어 공급에 대한 민주화가 일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누구나 이미 전세계를 대상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와 컨텐츠를 발행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공급부분의 다원화 및 대중화가 일어나게 되면 미디어와 저널리즘 자체가 매우 다양하고 풍부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종류의 미디어 공급자가 늘고, 반대로 정보와 미디어 소비에 있어서도 모두가 동일한 내용을 보기 보다는 서로 매우 다르고, 동시에 다양한 소비가 이루어지게 되겠죠.  


이런 변화는 저널리즘 자체를 바라볼 때에도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실패하는 저널리즘, 성공하는 저널리즘

공급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경쟁을 유발하게 되고, 과거 보다 치열해진 경쟁 속에 훨씬 많은 수의 새로운 저널리즘 실험과 공급자들이 실패를 맛보게 될 것입니다.  이는 어떤 종류의 새로운 사업을 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법칙이니, 새로운 저널리즘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겠죠.


그렇지만, 과거에 비해 새로운 저널리즘을 만들고 이를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대폭 줄어들고, 문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실패에 대한 부담도 적어집니다.   많은 수가 시작하고, 많은 수가 접는 와중에 성공을 하는 매체와 저널리즘은 나올 것이고, 이들의 성공은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가게 될 것입니다.


미디어 경쟁이 치열해 질수록 미디어의 적극적인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더 잘해야 될 것입니다.  수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쏟아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 정말 중요한 것을 찾아내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이 미디어에 대한 저널리즘 공급자에게 주어진 책무입니다.  소비자들에게 정보와 저널리즘 자체가 전달되는 것의 문제가 아니라, 이제는 이를 어떻게 걸러내서 입맛에 맞출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확실한 것은 이제 연합뉴스 같은 곳에서 받아서 새로운 뉴스라고 전달하는 행태의 저널리즘이 발붙일 수 없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이미 속보성은 신문과 방송 모두 온라인에게 밀리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트위터와 같은 실시간 마이크로블로그가 속보성에 있어서 가공할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지금, 저널리즘의 핵심에 있는 기자들이 해야 할 일은 얼마나 날카롭게 이를 분석하고, 자신의 역량을 녹아낸 컨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저널리스트에게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필수

저널리즘을 전공한 사람들이 국내에는 그렇게 많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더구나, 디지털 미디어나 IT 기술의 발달에 대해 익숙한 사람은 더더욱 드뭅니다.  그렇지만, 앞서 언급한 미래의 저널리즘에 대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이런 능력, 특히 소셜 미디어 및 디지털 미디어를 잘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적극적인 미디어 소비자로서의 능력이 점점 중요해져 가고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한국경제신문의 광파리님의 경우 우리에게 모범적인 저널리스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적지 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각종 소셜 미디어를 이용해서 소통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으며, 직접 만나서 인터뷰하고 현장을 찾아가는 전통적인 취재방식도 좋지만, 트위터 등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중요한 취재원들을 모니터 하면서 적절한 논평과 분석을 내놓고 계십니다.  또한, 태턴앤미디어를 비롯한 새로운 저널리즘의 탄생을 위해 노력하는 다른 분들에게도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기존 전통의 미디어에 계신 분들은, 방송법 같은 것에 집착하기 보다는 조직 내의 기자들이 이러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들이 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밀어주는 것이 미래의 치열한 저널리즘 전쟁에서 살아남는 지름길이 될 것임을 이해하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