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물질이 고위험 임신의 임신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희대 간호학과 김주희 교수 연구팀과 연세대 강대용 교수 연구팀은 국내에서 발생한 고위험 임신 78만여건을 분석해 이같이 발표했다.

고위험 임신은 임신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조산, 사산 등과 같은 임신 합병증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 원인은 사회경제적 특성, 유전,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하며 이번 논문에서는 대기오염물질과 고위험 임신의 연관성을 밝혀낸 것이다.

그동안 대기오염 물질이 임신 합병증 유발에 연관성이 있다는 분석은 있었지만 한 번의 임신 기간 중 임신 합병증의 개수와 대기오염물질 간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는 처음이다.

 해당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없음
 해당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없음

연구팀은 지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고위험 임신 78만9,595건을 분석했는데 임신 합병증별로 임신성 당뇨 52만7,365건, 임신성 고혈압 3만6,590건, 조산 45만5,185건, 사산 648건 등이었다.

1명의 임산부에게서 2개 이상의 임신 합병증이 발견된 경우는 고위험 임신 중 28.4%를 차지했으며, 미세먼지 등 공기오염물질 농도가 높아지면 임신 합병증 종류가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고위험 임산부에게 임신 합병증이 발생하기 6개월 간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추적했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황의 농도를 추적하자, 임신 합병증 발생 위험 비율은 1.06~1.27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산출됐다.

특히 초미세먼지의 경우,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임신성 당뇨 발생 위험은 1.17배, 임신성 고혈압 발생 위험은 1.08배, 조산 발생 위험은 1.0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김주희 교수는 “임신 출산기는 태아의 세포가 성장하고 기관이 발달하기 때문에 임산부의 산소 요구량이 15~20% 정도 증가한다”며 “일반인보다 대기오염에 더 취약할 수 있는 시기”라고 말했다.

강대용 교수는 “대기오염이 생식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대기오염물질을 피하는 등 임산부 스스로 관리도 중요하지만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대기오염 정책이 필요하다”며 “대기질 개선을 위한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보건학분야 상위국제저널인 ‘환경연구’(Environmental Research)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