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배출되는 증상을 말하는데 신체적으로 크게 위해를 주지는 않지만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스스로 대외활동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고, 심하면 우울증을 앓게 되는 경우도 있다.

요실금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전체 환자 중 90%이상은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에 속한다.

복압성 요실금은 골반 근육이 약화돼서 기침을 하거나 웃을 때 뛰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소변이 새어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절박성 요실금은 방광의 신경이 불안정해지면서 소변이 마려울 때 느껴지는 요의(尿意)가 느닷없이 찾아와 이를 참지 못하고 소변을 지리는 증상을 말한다. 

성삼의료재단 미즈메디병원이 2011년~2020년 최근 10년간 요실금 환자 5,812명의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60대 요실금 환자가 10년 전 대비 2.5배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18년에는 50대와 60대의 요실금 환자의 비율이 29.9%로 동일했고, 2019년에는 50대 26.3%, 60대 27.5%, 2020년에는 50대 25.5%, 60대 28.7%로 점점 60대 요실금 환자가 더 많아지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좌측부터 김기영 주임과장, 김종현 진료과장
좌측부터 김기영 주임과장, 김종현 진료과장

미즈메디병원 비뇨의학과 김기영 주임과장은 이와 관련해서 “고령화가 되면서 60대 이상환자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보통 40대 후반 50대 초반 갱년기를 겪고 난 후에 많이 나타났던 증상이 고령화가 되면서 60대에 나타나게 되고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아진다”고 말했다.

또한 “요실금을 노화현상으로 생각하고 우울해하기만 하는 것은 삶의 질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 환자 상태에 맞게 제때에 치료한다면 건강한 시니어로서 즐거운 노년을 보낼 수 있다”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를 강조했다.

비뇨의학과 김종현 진료과장은 “골반근육의 퇴화를 막기 위해, 또는 요실금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때때로 케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며 “질과 항문을 오므리는 운동으로 5초 정도 힘을 주었다가 빼는 식으로 30번 정도 반복하고 이렇게 하루에 2~3번 정도 하면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또한,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은 비슷해도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치료방법이 완전히 달라지게 되는데 복압성 요실금이 고장 난 수도꼭지를 고치는 데 초점을 맞춘다면 절박성 요실금은 상수도 펌프가 제대로 조절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가 되므로 방광기능검사 등 정밀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매우 중요하고 환자의 상태에 맞게 최적의 치료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복압성 요실금의 경우 물리치료 또는 인조테이프를 이용한 수술(TOT, TVT 수술)로 95%이상의 증상 개선 효과가 있다. 수술이라고는 하지만 수술시간은 20-30분 정도이고 하루만 입원하면 된다. 그리고, 방광이 예민해서 생기는 절박성 요실금의 경우 약물치료로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