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채혈로 벌독항원검사…사전 알레르기 진단 가능

농촌은 말할 것도 없고 도심에서도 119구급대가 출동하는 벌 쏘임 사건사고가 종종 일어나고 있다. 특히 요즘처럼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철에는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진다. 여름철은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하는 시기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벌에 쏘이면 쏘인 자리만 붓고 아픈 것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 심하면 중증 반응을 일으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아나필락시스 반응(Anaphylaxis reactions)’은 벌독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벌에 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개인에 따라 편차가 크다. 누구는 벌에 쏘인 부위에만 통증을 느낀다. 또 다른 누구는 몸 전체에 두드러기가 일어나고 위경련자궁수축설사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또 인두후두 기도 위쪽이 심하게 부으면서 쇼크가 일어나 사망할 수 있다.

사람에 따라 증상이 다른 이유는 우리 몸 면역 체계와 알레르기 반응 때문이다. 벌독에 민감한 사람 즉, 벌독 알레르기 환자가 벌에 쏘이면 더 위험한 상황으로 악화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몸에는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을 인식하는 비만세포가 있다. 비만세포는 항원을 인식하고, 항원과 싸울 수 있는 세포들을 불러들이는 히스타민(Histamine)을 분비한다.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 시켜 혈류량을 늘리고 상처 부위에 부종과 통증가려움증을 일으킨다.

이에 비해 벌독 알레르기 환자는 벌에 쏘이면 과다한 히스타민 분비로 혈액이 지나치게 빠져나와 혈압이 떨어지고 몸이 붓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이 부작용이 심해지고 적절한 응급조치가 없으면 쇼크사에 이른다.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을 아나필락시스 반응이라고 부른다. 아나필락시스는 그 자체로도 위험하고, 치료 후에도 정식적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한 성인 환자 203명 중 41.4%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나타났다.

만약 벌에 쏘이고 중증 이상 반응이 나타나면 트립타제(Tryptase) 검사로 아나필락시스를 진단할 수 있다. 트립타제는 비만세포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그 수치를 통해 비만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면 아나필락시스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자신이 벌독 알레르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려면 가까운 내과나 가정의학과를 방문해 간단한 혈액 검사로 알 수 있다. ‘벌독 항원 검사를 하면 벌독 알레르기 유무뿐만 아니라 어떤 종류의 벌독에 알레르기가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이지원 전문의는 야외에서 벌을 자극하는 향수화장품스프레이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소방관이나 양봉업자 등 벌에 자주 노출되는 환경에 근무하고 있으면 더 검사받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