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전홍진 교수 연구팀 분석…“언론의 자정 노력 덕분”

신문방송 언론이 유명인의 자살 보도방향을 바꾸면서 일반인의 자살률이 크게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유명 연예인의 자살률에 대한 영향은 더 크게 나타난다.

언론이 자살을 묘사하는 언론보도를 자제하고 신중히 전하면 일반인들의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점에서 주목된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 연구팀은 호주-뉴질랜드 정신의학 저널(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우리나라의 최근 자살률이 줄어든 배경으로 언론의 보도변화를 꼽았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1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20년 자살사망자 수는 13,018명으로 전년 13,799명 보다 5.7%(78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자살률이 최고치에 이르렀던 2011(15,906)2019년을 비교하면 13.2%(2,107) 줄었다.

2012년 자살예방법 시행과 함께 2013년 자살보도 권고기준이 언론현장에 적용됐다. 이러한 자살보도 권고기준이 자살사망자 감소에 크게 기여했다는 게 전홍진 교수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자살예방법자살보도 권고기준시행 이전인 2005~2011년 사이 유명인의 자살 관련 보도가 나간 후 한 달 동안 일반인 자살률은 평균 18% 늘었다.

유명인의 사망 직전 한 달 평균값과 비교한 결과로 5년치 월간 평균 자살률과 코스피(KOSPI) 지수실업률소비자물가지수(CPI) 등을 모두 반영해도 자살보도가 미친 영향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인의 자살보도를 접하면서 힘든 상황에 있는 일반인들이 이에 동조하거나 우울증자살생각 등 부정적 요소들이 악화되면서 베르테르 효과’(Werther effect)가 나타난 탓이다.

베르테르 효과는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주인공 이름에서 따온 심리현상으로 유명인 또는 평소 선망하거나 존경하던 인물의 자살 소식을 접하면 심리적으로 영향을 받아 유명인과 자신을 동일시, 유사방식으로 잇따라 자살하는 사회현상을 말한다.

2012년부터 변화가 감지됐다. 2012자살예방법2013자살보도 권고기준이 차례로 언론현장에 시행되면서 유명인 자살보도 후 한 달 간 자살률 증가폭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는 제도적 정비와 더불어 자살을 대하는 언론의 보도방향이 바뀐 덕분이다. 언론의 노력으로 지난 10년간 더 많은 생명을 지킬 수 있었다다만 2018년 이후 유튜브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더 쉽게 더 다양한 경로로 유명인의 자살 관련 소식이 전해지는 만큼 이에 대해서도 자정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