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가 유명인의 극단적 선택에 대해 상세한 묘사를 자제하고 신중함을 기해 보도하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는 ‘파파게노 효과(Papageno effect)’가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 연구팀은 유명인 자살 보도 후 일반인 자살률 변화를 심층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1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20년도 자살사망자 수는 1만3,018명으로 전년도(1만3,799명) 대비 5.7%인 781명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자살률이 최고치에 이르던 2011년도(1만5,906명)와 2019년도를 비교하면 13.2%인 2,107명이 감소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2년 자살예방법 시행과 더불어 2013년 자살보도 권고기준이 언론현장에 적용되면서 자살률 감소에 크게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자살예방법과 자살보도 권고기준 시행 이전인 지난 2005년부터 2011년 사이 유명인의 자살 관련 보도가 나간 후 한 달 동안 일반인 자살률은 평균 18% 늘었다.

유명인의 사망 직전 한 달 평균값과 비교한 결과로 5년치 월간 평균 자살률과 코스피(KOSPI) 지수, 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CPI) 등을 모두 반영해도 자살보도가 미친 영향이 뚜렸했다.

유명인 자살보도를 접하면서 힘든 상황에 있는 사람들이 이에 동조하거나 우울증, 자살생각 등 부정적 요소들이 악화되면서 ‘베르테르 효과’(Werther effect)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난 2012년 자살예방법과 자살보도 권고기준이 차례로 시행되면서 유명인 자살보도 후 한 달 간 자살률 증가 폭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등 변화가 감지됐다.

전 교수는 “언론의 노력으로 지난 10년간 더 많은 생명을 지킬 수 있었다”며 “다만 2018년 이후 다시 영향력이 늘고 있다. 유튜브,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다양한 경로로 더 쉽게 유명인의 자살 관련 소식이 전해지는 만큼 자정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자살률을 더 감소시키기 위해 근거중심 지역사회 맞춤형 자살예방 대책과 지역사회 복지 인센티브를 통한 사회 연결성 증진 방안 등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호주-뉴질랜드 정신의학저널’(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IF=5.744)) 최근호에 게재됐다.

* '파파게노 효과'는 모차르트가 작곡한 오페라 '마술피리'에 나오는 '파파게노'라는 인물에게서 유래되었다. 파파게노는 연인이 죽자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 했지만  요정들이 나타나 파파게노에게 희망과 용기를 복돋아 주어 자살을 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베르테르 효과'는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출판된 후 이 책을 읽은 다수의 청년 독자들이 주인공인 베르테르의 죽음을 따라 자살을 했던 것에서 유래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