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황반변성(AMD)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과 최윤형, 안과 김동현 교수, 예방의학교실 주민재 박사팀이 2008~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 40세 이상 중장년 1만5115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미세먼지·이산화질소·일산화탄소 등 대기오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황반변성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왼쪽부터 최윤형 교수, 김동현 교수, 주민재 박사
왼쪽부터 최윤형 교수, 김동현 교수, 주민재 박사

황반변성은 눈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부가 변형돼 시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대기오염 물질 흡입을 통해 혈액 내 산화스테레스가 증가해 황반변성 위험성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국내 황반변성 발병률은 증가 추세이며, 실제로 2011년 9만 872명에서 2016년 14만 6446명으로 5년간 61.2%가 증가했다. 

이번 연구는 대기오염과 황반변성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이뤄졌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중요 교란 요인들을 제거했을 때 일산화탄소(CO)는 5배, 미세먼지(PM10)는 2∼5배 높아졌다.

미세먼지(PM10)에 50㎍/㎥(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 이상 노출(검진 전 2∼5년간)된 군은 그보다 낮은 농도에 노출된 군보다 황반변성 위험이 1.4배 높았다.

또 이산화질소(NO쐝)의 경우 30ppb(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 이상 노출(검진 전 5년간)된 군은 그보다 낮은 농도에 노출된 군보다 황반변성 발병 위험이 1.3배 높았다. 일산화탄소(CO) 역시 500ppb 이상인 노출(검진 전 5년간)된 군은 그보다 낮은 농도에 노출된 군보다 1.5배 높았다. 

Environmental Research에 게재된 논문
Environmental Research에 게재된 논문

김동현 교수는 "황반변성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으로, 인구 노령화에 따라 황반변성의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황변변성의 위험요소를 밝힌 이번 연구 결과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최윤형 교수도 "일상 생활 환경에서 노출되는 대기오염 수준으로도 충분히 황반변성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황반변성 등 안질환을 예방하고 건강한 노년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대기오염 수준을 더욱 낮출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환경연구회보' (Environmental Research)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