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 주변 인대 굳으면서 척추신경 압박…심하면 마비 증세

목이 항상 뻐근함을 느끼는 현대인들이 많다. 뻐근한 목을 스트레칭하면 대화하던 상대가 부정의 뜻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늘 뻐근한 목을 단순 피로로 생각하고 방치할 수 있다. 하지만, 그 기간이 오래 지속된다면 후종인대골화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후종인대골화증은 척추를 뒤쪽에서 지지해주는 후종인대가 뼈처럼 단단히 굳어지는 것을 말한다. (경추)에 많이 생긴다. 후종인대는 척추 사이 움직임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단단히 굳어지면 자연스러운 척추의 움직임이 방해받는다.

또 척추를 지나는 신경을 압박해 상체에 마비증세가 올 수 있다. 40대 이상 중년층부터 발병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후종인대골화증은 목에 뻐근한 느낌과 함께 심하면 신경 압박으로 팔다리에 마비 증세가 나타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를 보면, 2020년 후종인대골화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모두 3517명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 이상 중년층이 95.5%(29,156)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70대가 7,971명으로 가장 많았다.

후종인대골화증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유전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후종인대골화증은 서양 사람들보다 한국인과 일본인 같은 동양인들에게 더 발병률이 높다. 사고로 인한 외상이나 당뇨비만 등 성인병과 골다공증 등도 후종인대골화증 발병에 관여할 수 있다.

후종인대골화증은 목이 뻣뻣해 움직이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불편함이 크다. 환자들은 담에 걸린 것 같다고 호소한다. 초기 증상은 통증으로 시작해 목 주변에 압박감이 나타난다. 증상이 더 진행되면 후종인대가 딱딱해지고 부위가 커지면서 신경을 압박해 팔이나 손 저림, 감각 저하가 생긴다.

증상이 더 악화하면 하반신에도 마비 증세가 나타나 보행에 어려움이 생긴다. 심하면 사지 마비와 함께 배뇨와 배변 장애, 성 기능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환자 대부분은 극심한 통증보다는 목 주변 불편함과 팔이 올라가지 않는 등의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경우가 많다. CTMRI 검사를 통해 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질환이면 약물치료와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로 증상 호전을 기대한다. 이미 증상이 나타난 경우 신경 압박이 시작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술을 한다. 수술은 굳어진 인대를 적출하는 방식이다. 척수 손상 위험이 있으면 경추 후방에서 접근해 신경관을 넓혀주는 방식으로 수술을 진행한다.

세란병원 척추내시경센터 장한진 과장은 목을 습관적으로 꺾거나 높은 베개를 사용하고, 누워서 책을 보거나 미디어 기기를 사용하는 행동은 피하는 게 좋다“40대 이상이거나 목에 뻣뻣함과 함께 팔 저림이 느껴진다면 후종인대골화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