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김광일 교수‧전남대 강민구 교수 공동 연구

노인의 걷는 속도는 노년기 건강의 지표 가운데 하나다. 걷는 속도를 보고 노화 정도와 근감소증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인들은 신체 여러 기관의 생리학적 기능과 예비력 감소로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다. ‘노쇠에 이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쇠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바로 느린 걷는 속도다.

근감소증은 근육량의 감소와 근력 저하를 의미하는 질환이다. 근감소증은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고 낙상 빈도를 높인다.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사회참여도 떨어뜨린다. 과거에는 자연적인 노화의 한 과정으로 여겼다. 하지만, 이제는 각국에서 근감소증에 질병 코드를 부여해 관리하고 있다. 한국 역시 올해 표준질병사인분류(KCD)에 근감소증을 포함했다.

최근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교수와 전남대병원 노년내과 강민구 교수 공동 연구팀이 노인들의 실제 보행 속도의 특징과 근감소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

이번 연구는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50세 이상 성인 남성 106(평균 연령 71)을 대상으로, 4주간 벨트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해 실제 보행 속도를 측정했다. 근육량과 근력 검사를 실시해 근감소증과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참가자들의 21만 회 이상 보행 속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일상생활 보행속도는 1.23m/s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유의하게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감소증이 있는 참가자는 1.12m/s로 근감소증이 없는 참가자 1.23m/s보다 유의하게 낮은 보행속도를 보였다.

, 근력이 낮은 참가자의 평균 보행속도는 1.15m/s, 정상 근력 참가자는 1.23m/s로 차이가 있었다. 근육량이 적은 참가자와 정상 근육 질량을 가진 참가자의 경우에도 각각 1.22m/s, 1.25m/s의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에서 보행속도가 하지 골격근량과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전남대 노년내과 강민구 교수 보행속도는 노쇠의 주요 예측 인자이자 근감소증 진단 및 기능상태 평가에 있어 대단히 의미 있는 평가 요소라며 웨어러블 기기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만큼 초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진료 모델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SCI 저널인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