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에게 알맞는 운동 종류와 강도 제시

심방세동 진단 후 규칙적인 운동을 시작하거나 지속하면 심부전이나 뇌졸중은 물론 사망 위험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장박동 수가 빨라질 수 있는 운동이 심방세동에 해롭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와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공동연구팀은 심방세동 환자의 운동 습관과 질병 발생 위험 사이 연관을 분석해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심방세동 환자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5~7배, 심부전 2배, 사망 위험은 1.5~3.5배까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심혈관계 질환 합병증 예방을 위한 치료와 생활 습관 교정이 필수적이지만 운동 습관 변화와 관련된 정보는 부족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0년부터 2016년 사이에 새로 진단된 심방세동 환자 6만6,692명을 지속적 비운동자(30.5%), 신규 운동자(17.8%), 운동 중단자(17.4%), 운동 유지자(34.2%) 네 그룹으로 나누고 약 4년에 걸쳐 뇌졸중, 심부전, 사망 발생률을 추적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운동 경험이 있는 세 그룹은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지속적 비운동자 그룹보다 사망 위험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 비운동자 그룹에 비해 운동 중단자 그룹은 17%, 신규 운동자는 18%, 운동 유지자는 39% 더 낮았다. 

운동자 그룹은 지속적 비운동자 그룹보다 뇌졸중 위험도 10~14%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심부전 위험도 지속적 비운동자 그룹보다 신규 운동자 그룹은 5%, 운동 유지자 그룹은 8% 더 낮았다.

연구팀은 심방세동에게 알맞는 운동 종류와 강도도 제시했는데 빠르게 걷기, 보통 속도로 자전거 타기, 엎드려 걸레질하기 등 중등도 강도 운동을 1주일에 170~240분씩 하거나 달리기, 에어로빅, 등산 같은 고강도 운동을 1주일에 140~210분하면 심혈관계 질환과 사망 위험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최의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 교정이 심방세동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심부전, 사망 위험 감소와 연관이 있고 뇌졸중 위험 감소와도 잠재적으로 관련될 수 있음을 밝혔다"며 "이제 심방세동을 새롭게 진단받은 환자들에게 심박 수가 빨라질 수 있는 운동이 해롭지 않으며 운동을 시작하거나 지속하도록 권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의학분야 국제학술지 'PLOS Medicine (IF 11.069)'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