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전 시행하는 검사인 하지 엑스레이와 피검사만으로 환자의 ‘근감소증’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이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노두현 교수팀(황두현 수련의, 안성호 학생)은 인공지능인 합성곱 신경망과 기계학습의 분류 모델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근감소증을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 모델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노두현 교수, 황두현 수련의, 안성호 학생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노두현 교수, 황두현 수련의, 안성호 학생

연구팀은 수술 이력이 없는 건강한 지원자 227명의 하지 엑스레이 사진을 사용해 자동 근육 분할 역할을 수행하는 딥 러닝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해당 예측 모델은 하지 엑스레이 사진으로부터 근육을 분할해 환자의 전신 근육량을 추산하고 이를 포함한 총 7개의 변수(예측 전신 근육량, 체질량지수, 빌리루빈, 헤모글로빈, 알부민, 단백질, 나이)를 활용해 근감소증을 예측한다.

연구팀은 해당 모델을 활용해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를 위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앞두고 있는 환자 403명을 테스트해 본 결과 하지 엑스레이 사진의 자동 근육 분할 측면에서 전문의가 표시한 것과 다름없는 높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또 근감소증 예측 모델의 검증 단계에서 해당 모델의 예측 능력의 수치는 0.98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A)원본 방사선 이미지 (B)전문의가 표시한 분절된 근육 (C)인공지능 모델이 예측한 분절된 근육
(A)원본 방사선 이미지 (B)전문의가 표시한 분절된 근육 (C)인공지능 모델이 예측한 분절된 근육

아울러 근감소증을 예측하는 7개의 변수 중 PMV(예측 전신 근육량) 값은 근감소증을 판별하는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CT, MRI 영상 촬영이나 체성분 분석, 골다공증 검사와 같은 별도의 진단을 통해 확인하던 근감소증을 수술 전 간단한 엑스레이와 피검사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노두현 교수는 “본 기술을 활용해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형외과 수술을 받는 환자의 근감소증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황두현 수련의는 “이번 연구는 최근에 각광받는 딥러닝과 머신러닝을 복합적으로 활용해 실제 임상에서 필요한 기술을 직접 개발한 좋은 예시”라며 “근감소증 환자들에게 수술 전후의 근육량 보강 및 합병증에 대한 사전 교육을 실시해 수술 후 위험인자에 순발력 있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SCI 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