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근욱 교수팀

전이성 위암 치료에서 종양돌연변이부하(TMB, Tumor Mutation Burden) 수치를 활용하면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근욱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근욱 교수

그동안 TMB 값을 활용한다면 면역항암제의 치료성과를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었지만 전이성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전이성 위암 환자는 면역항암제를 사용한 환자별 맞춤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했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근욱 교수팀은 전이성 위암에서 TMB의 발현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환자별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기존에 치료를 받지 않은 전이성 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면역항암제 사용과 세포독성항암치료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연구(KEYNOTE-062 3상 임상시험)와 같이 실시됐다.

연구 결과, TMB-High군(TMB≥10)의 환자에게는 ▲종양반응률 ▲생존기간 등 여러 분야에서 면역항암제 치료가 세포독성항암치료보다 좋았지만, TMB-Low군(TMB<10)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효능 예측에 대한 TMB의 유용성을 전이성 위암 치료까지 확장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기존에는 위암 조직의 ‘PD-L1의 발현 정도’ 및 ‘현미부수체 불안전성(MSI)’ 검사를 활용해 면역항암제 효능을 어느 정도 예측해 왔는데, 이제는 TMB 검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해 환자별 맞춤치료를 더욱 정밀하게 시행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한 점에서 높은 학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결과에 따라 전이성 위암 환자도 다른 암 환자들처럼 맞춤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근욱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TMB는 다른 종양처럼 전이성 위암에서도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했다”며 “전이성 위암 환자를 치료할 때, TMB 결과 값을 기존 검사와 병행해서 활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항암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암 관련 국제학술지 'Clinical Cancer Research'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