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때 착용하는 간단한 구강 내 장치부터 턱 교정수술까지 다양

잠이 보약이라고 한다. 건강한 수면이 삶의 질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강조한 말이다. 한편, 건강한 수면을 방해하는 위험 요인들도 있다. 그 가운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대표 훼방꾼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자고 일어나도 피곤한 만성피로는 물론 고혈압뇌졸중심부정맥당뇨병 위험까지 증가시킨다.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Obstructive Sleep Apnea)은 잠을 자면서 상부 기도가 막혀 숨을 못 쉬고 반복적으로 잠에서 깨는 질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40~69세 인구 중 남성 27%와 여성 16%가 수면호흡장애를 가지고 있다. 국내 유병률은 남성 4.5%, 여성 3.2%에 이른다.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한 비만 증가와 고령화음주흡연,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환자는 계속 늘고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있어도 낮에 숨 쉬는데 문제는 없다. 그러다 밤에 잠들면 숨이 막혀 컥컥대는 증상을 보인다. 수면 중에 혀뿌리가 있는 상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10초 이상 숨이 멈추는 ‘수면무호흡’(sleep apnea)이나 숨을 얕게 쉬는 ‘수면저호흡’(sleep hypopnea) 증상이 한 시간 동안 5회 이상 생기면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한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양압술1차 치료로 권장된다. 하지만, 양압술은 순응도가 10~50%로 떨어진다. 이런 환자에게는 구강 내 장치나 교정장치로 상악골을 확장하는 비수술적 치료나 양악전진술상악골확장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까지 적용할 수 있다.

구강 내 장치는 잠을 잘 때 입안 치아에 착용하는 장치다. 아래턱을 앞으로 빼서 좁은 기도 공간을 넓히고, 잘 때 기도를 막는 혀를 전방으로 내밀도록 해서 기도를 넓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한다.

코골이가 있거나 경도에서 중등도 수면무호흡 환자가 양압술 사용을 원하지 않거나 양압술 치료에 실패하면 적용한다. 이때 심장질환이나 호흡기질환만성전신질환, 심각한 치주질환, 틀니 사용자, 턱관절 질환, 심한 비부비동 질환이 있으면 사용이 제한된다.

상악팽창술은 어금니쪽 치아에 연결하는 교정장치다. 비강과 구개부 폭경을 증가시키고, 구호흡을 개선시켜 기도의 저항을 줄인다. 5~16세 소아와 청소년기 환자에게 적절하다. 보다 자세한 상담은 교정과 전문의와 시행하는 것이 좋다.

강동경희대치과병원 구강외과 홍성옥 교수는 대부분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은 아래턱이 무턱이거나 얼굴이 길고 좁은 아데노이드 페이스인 경우가 많고, 이런 환자들에게 기능적인 개선뿐만 아니라 외모적인 개선을 줄 수 있다정상적인 얼굴 형태를 가진 경우에는 치료계획을 정확히 세울 수 있는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와 상담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