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대 순환기내과, 세계 최초 중성지방 변동성과 사망 확률 관계 분석
안암·구로·안산 내원환자 빅데이터 활용…당뇨병 환자 조기 사망확률↑

당뇨병 환자의 경우 중성지방이 지속적으로 높은 것보다 높았다 낮았다를 반복하는, 중성지방 수치 변동폭이 클수록 조기 사망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중성지방 변동성과 당뇨병 환자의 조기 사망확률간 연관성을 밝혀낸 세계 최초 연구다.  

당뇨병은 다양한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때문에 당뇨병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들은 중성지방 수치가 높으며 중성지방은 동맥경화나 관상동맥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고려의대 순환기내과 연구팀은 중성지방 변동성이 당뇨병 환자의 조기 사망 확률과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한 논문,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riglyceride Variability and Exposure Estimate on Clinical Prognosis in Diabetic Patients'를 심혈관 당뇨학회지(Cardiovascular Diabetology)에 발표했다.

이는 고대 안암·구로·안산 병원의 전자의무기록을 구조화한 데이터(Observational Medical Outcomes Partnership Common Data Mode)를 활용해 2002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약 580만명을 분석한 것으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1차 중성지방 수치를 측정하고 초기 측정일로부터 3년 동안 3회 이상 검사한 40세 이상의 환자 7만2,060명의 기록을 바탕으로 중성지방 변동성과 심혈관계 질환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중성지방 수치의 변동 폭이 클수록 당뇨병 환자의 사망 및 심혈관 질환 관련 사건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은 중성지방 수치가 축적될수록 당뇨병 환자에게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보편적 의견이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중성지방 변동성이 대부분의 심혈관계 질환 등 당뇨병 환자들의 주요 부작용 발생에 더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중성지방 변동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주요 심혈관 사건 관련 위험률은 1.19배 사망 위험은 1.37배 높게 나왔다. 심근경색과 뇌졸중 발생률 역시 중성지방 변동성이 높은 집단이 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다기관 임상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고려대 안암·구로·안산병원의 OMOP-CDM 데이터베이스의 품질을 인정 받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고대의료원은 건강보험공단 및 심사평가원에는 없는 많은 정밀한 데이터가 OMOP-CDM으로 변환되어 있다. 앞으로 많은 의미 있는 임상 연구들에 고대 OMOP-CDM 데이터베이스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이상지질혈증 치료 가이드 설정과 환자들의 사망률 감소 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