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유아기 어린이집에서 사회성 부족으로 나타나

부모는 어린 자녀가 너무 산만해 주의력이 떨어지고, 충동적으로 보이면 혹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는 아닐까 덜컥 겁부터 난다. 아이가 ADHD로 진단되면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것보다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사는데 어려움을 겪을까 걱정해서다.

ADHD의 주요 증상은 과잉행동충동성주의력결핍이다. 부수적인 증상으로 감정조절이나 대인관계의 어려움, 학습수행 능력 저하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증상 발현 양상은 개인차가 크다. 특히 ADHD는 유아기부터 증상이 있어도 오래 집중해야 하는 환경에 처하는 학령기가 되어서야 진단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ADHD를 진단하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면담이 가장 중요하다. 아이가 가정이나 학교에서 어떤 모습인지,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제공하는 정보들과 여러 가지 심리검사 결과들을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해 진단한다.

ADHD로 진단되는 전형적인 학령기 아이들은 대체로 수업 시간에 잘 앉아있지 못하거나, 딴짓을 많이 한다. 수업을 방해하고, 선생님의 지시를 잘 따르지 못하고 숙제나 준비물을 자주 까먹고 친구들과 사소한 다툼이 생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주의력결핍만 있어 증상이 더 경미하거나 티가 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유아는 나이에 맞지 않는 어려운 공부를 해야 하거나, 지루하게 오래 기다려야 하거나, 지키기 어려운 규칙을 지켜야 할 때 잘 따르지 못하며 가만히 있지 못하고 돌아다니며 집중하지 못한다.

아직 너무 어린 유아는 일반적으로 오래 집중하는 게 어렵고 산만하다. 과잉행동을 보이기도 하고 충동 조절이 미숙하다. 따라서 유아가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충동성을 보인다고 무조건 ADHD인 것은 아닌 이유다.

한편 유아기에도 또래보다 훨씬 산만하거나 과잉행동이 있다면 ADHD로 진단할 수 있다. 기관 생활에 어려움이 있다면, 어린 나이에도 병원을 찾아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아이가 재미없는 공부를 해야 하는 상황도 아닌데 친구들과 즐거운 놀이, 선생님이 들려주는 재미있는 이야기, 문화센터에서 하는 신나는 활동에도 관심을 두거나 참여도 하지 않고 혼자 일탈해서 돌아다닌다면, 주의력뿐 아니라 사회성에 결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한편 아이가 자신만의 관심사가 뚜렷해 그것에만 몰두하고, 대부분 아이가 관심 있어 하고 재밌어하는 것들에는 흥미 없어 하며,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거나 소통하기 어려워하고 선생님의 간단한 지시에도 집중하지 못해 지시수행이 되지 않는다면, 사회성 결함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해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지원 교수는 어려서부터 아이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아이의 건강한 발달에 많은 도움이 되고, 적시에 필요한 치료적 개입을 해줄 수도 있다다양한 일상적인 상황에서 또래보다 많이 주의산만하고 충동적이라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아이의 언어인지주의력사회성 발달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