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발생 후 시술까지 시간 짧을수록 사망률 감소
48시간 내 수술 받은 환자 사망위험도 24%↓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와 중앙대학교 광명병원 순환기내과 안태훈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배성아 교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차정준 교수 연구팀은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증상 발생 후 48시간 이내에 관상동맥 중재술을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

급성 심근경색증은 ST분절 상승여부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는데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심장의 큰 혈관이 막히는 경우) 환자의 경우 가슴통증, 답답함, 호흡곤란과 같은 증상 발현 후 골든타임인 2시간 이내에 관상동맥 중재술을 통해 막힌 혈관을 뚫어 혈류를 회복시켜야 한다.

하지만 ST분절 상승을 동반하지 않는 비상승 심근경색의 경우 병원 내원 후 24시간 이내 시술을 받는 것이 현재까지의 진료 지침이며, ST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달리 조기 시술적 치료가 사망률을 개선시킨다는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심근경색증의 숨은 난제로 꼽혔다.

연구팀은 한국인 심근경색증 등록연구에 등록된 약 5800명의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환자를 3년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병원 내원 기준이 아닌 증상 발현 기준으로 48시간 이내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에서 생존율이 높다는 것을  규명했다.

특히 환자들의 기본 특성, 질환력, 기타 치료력 등을 통제한 후에도 증상발생 기준 48시간 이후 대비 48시간 이내에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집단의 사망 위험도가 24% 낮았으며, 시술까지의 시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생존율이 높았다. 119 구급차를 이용해 내원하는 환자군의 예후가 월등히 양호했다.

정명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급성심근경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총 허혈 시간이며, ST분절 상승 심근경색 환자와 더불어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환자에서도 증상 발생 후 빠르게 병원 내원하여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함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안태훈 교수는 "증상 발생 후 24시간 이후 병원 내원하는 환자 비율이 약 30%에 이를 정도로 늦게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며 "증상발생 후 관상동맥 중재술까지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사의 빠른 판단과 더불어 증상 발생 후 환자의 빠른 병원 내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심장학회지 'JACC: Cardiovascular Interventions'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