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질환이 아닌 ‘관리 가능한 질병’…조기 발견, 운동‧약물치료 중요

대부분 파킨슨병을 뇌에 생기는 무서운 질환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운동과 약물 치료로 10, 20년 이상 파킨슨병을 잘 관리하며 지내는 환자들도 많다. 파킨슨병을 관리가 가능한 병으로 이해하는 용기를 발휘하면 대응하기 좋은 이유다.

암은 암 조직을 제거해야 치료가 된다. 이에 비해 파킨슨병 치료는 관리를 잘한다는 의미다. 단계별로 적절한 약물 치료를 병행하고, 필요에 따라 뇌심부작극술등으로 증상을 완화한다. 파킨슨병을 조기에 발견, 잘 관리하면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다.

과거 파킨슨병 진단은 떨림이나 느려짐 같은 운동이상 증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최근에는 치매를 포함한 우울증과 후각이상‧수면장애 등 비운동 증상도 중요해졌다.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가 많이 발견돼 질병에 대한 이해가 더 깊어졌기 때문이다.

파킨슨병을 의심하는 대표 증상은 과잉행동과소행동으로 크게 구분한다. 과잉행동의 대표 증상은 가만히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떨림이다. 과소행동은 느려지거나 둔해지는 증상이다. 글씨나 목소리가 작아지는 것, 냄새를 잘 못 맡거나 침을 흘리는 것 등도 여기에 포함된다.

어르신에게 나타나는 이러한 증상을 나이 들어 생기는 노화로 여기면서 파킨슨병 진단이 늦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다가 배우자를 때린다든지, 침대에서 떨어진다든지 하는 수면장애나 대변을 잘못 보는 증상도 파킨슨병의 초기 증상이다. 허리나 어깨무릎에서 생기는 통증이 외과적으로 명확하게 진단되지 않을 때도 파킨슨병을 의심할 수 있다.

파킨슨병 환자는 떨림의 동일한 증상이 있어도 환자마다 떨림의 정도와 약에 대한 반응이 다르다. 떨림으로 생기는 일상이나 사회 활동 제약의 정도도 차이가 있다.

그래서 전문의들은 환자마다 개별화해서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을 중요한 치료 과제로 생각한다. 의사는 파킨슨병 진행 과정에 대해 알지만, 더 큰 그림을 가지고 전체 치료 계획을 세운다. 환자가 이를 납득할 수 있도록 설득하고 돕는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

의사와 환자 관계에서 환자는 수동적이기 쉽다. 이때 의사는 환자가 치료 목적과 과정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치료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입장에 서려고 한다. 질환 너머에 환자가 지닌 문제를 다면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경희대병원 신경과 안태범 교수는 의학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문제라도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파킨슨병 말고 파킨슨증후군 같은 경우는 굉장히 병이 중하고 경과도 좋지 않을 때가 많은데 마음을 다해 환자를 진료하고 진실하게 다가가고자 노력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