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골판 약한 갱년기 중장년층에 파열 위험 높아…후각부 파열 더 안 좋아

# 전업주부 박모(58) 씨는 최근 보행자 신호등이 깜빡거리는 횡단보도를 급히 뛰어 건너다 무릎 뒤쪽에서 하는 파열음과 함께 갑작스러운 종아리 통증을 느꼈다. 동네 병원에서 검사받았지만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아 박 씨는 두 달 동안 물리치료만 받았다. 하지만, 증상은 호전되지 않았다. 무릎을 구부리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마다 통증은 오히려 심해졌다. 박 씨는 관절전문병원을 찾아 MRI 검사를 통해 내측 반월상연골판 후각부 파열로 진단받았다.

반월상연골판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러운 퇴행성 변화로 반월상연골판이 조금씩 손상되면서 파열된다. 특히 연골판이 약해진 중장년 여성은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될 수 있다. 연령층으로 보면, 40대 중반에서 60대 초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안쪽(내측)과 바깥쪽(외측)에 각각 1개씩 관절 사이에 위치한다. ‘외측 반월상연골판C자형 모양이다. 주로 20~30대 젊은 연령층이 운동하다가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많다. 운동으로 무릎통증을 호소해 병원을 찾는 환자 10명 가운데 7명은 외측 반월상연골판 파열이다.

내측 반월상연골판은 외측보다 조금 둥글다. 퇴행성변화에 의한 파열이 대부분이다. 특히 좌식 위주 양반다리나 자주 쪼그려 앉는 생활습관은 무릎 안쪽에 많은 하중을 가한다. 이러한 하중은 연골판 손상과 통증을 일으킨다.

관절내시경으로 살펴본 ‘내측 반월상연골판 파열’ 모습
관절내시경으로 살펴본 ‘내측 반월상연골판 파열’ 모습

안쪽 무릎 뒤쪽이 터지는 ‘내측 반월상연골판 후각부 파열’도 있다. 이는 안쪽 무릎 뒤쪽에 있는 연골이 파열된 상태다. 후각부파열은 서양인보다 동양인에게 많고,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쪽 연골판이 손상되면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기능이 20% 정도 상실된다. 이에 비해 뒤쪽이 파열되는 후각부파열은 연골을 보호하는 전체 기능을 잃는 것과 같다. 이는 퇴행성관절염이 발생이 빨라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내측 반월상연골판 후각부 파열은 발병 양상이나 통증은 뚜렷한 개인차를 보인다. 무릎 뒤쪽으로 많은 힘이 쏠리는 자세가 지속되다 어느 날 갑자기 파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파열에 따른 통증은 3주 정도 지속되다 점차 좋아진다. 이 때문에 자연 치유됐다고 생각해 질환을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

이때 방치하면 다리가 오자(O)로 변형되고,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진다. 이 상태에서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연골 손상은 빨라진다. 심하면 인공관절 수술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

다른 연골판 파열은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수술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해 내측 연골판 후각부 파열은 연골판 기능을 100% 상실하는 만큼 연령에 관계없이 가급적 1년 안에 이식술절제술봉합술 등 수술적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관절내시경을 통한 수술은 4정도 가느다란 내시경을 손상 부위에 넣어 육안으로 환부를 확인하면서 진단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어 기존 절개술에 비해 절개 범위가 작아 수술 후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부 파열로 퇴행성관절염 등 2차 손상을 피하기 위해선 풍부한 관절내시경 경험이 있는 의료진을 찾아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