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김정민 교수팀…뇌졸중 예후 예측하는 새로운 지표 확인

뇌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생기는 뇌졸중은 사망 위험이 높다. 뇌졸중 예후를 개선하려면 평소 고혈압당뇨이상지질혈증 등 혈관 위험인자 조절이 중요하다. 한편 혈관 위험인자를 잘 관리해도 재발이나 혈관질환을 경험하는 뇌졸중 환자가 있다. 그 원인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 뇌졸중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다. 뇌 속 편도체대사활동이 활발해지면 뇌졸중 환자의 혈관질환 발생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서울대병원 김정민 교수와 중앙대병원 박광열‧석주원 교수 공동연구팀은 편도체와 척추에서 활성화된 대사 작용이 뇌졸중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뇌졸중 환자 110명의 양전자 단층 촬영(FDG-PET)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졸중 환자의 나쁜 예후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뇌 속 편도체에 주목했다. 편도체는 공포불안스트레스를 느낄 때 활성화된다. 편도체는 대사 작용이 활발해지면 척추 등 조혈기관의 염증세포를 증가시켜 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는 최근 연구도 있다. 하지만, 편도체가 뇌졸중 환자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아직 연구된 바 없다.

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주요 장기의 대사활성도를 측정하는 양전자 단층 촬영’(FDG-PET)으로 20158월부터 20202월까지 급성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 110명을 검사했다.

이후 퇴원한 환자들의 뇌졸중 재발과 심근경색말초동맥질환사망 등 혈관사건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 관찰 결과, 편도체와 척추 대사활성도가 높은 환자는 수치가 낮은 환자보다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편도체 대사활성도가 높은 환자는 낮은 환자보다 혈관사건 발생위험이 3.1배 증가했다. 척추 대사활성도가 높으면 뇌졸중 재발 위험은 4.9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당뇨와 사구체 여과율 등 다양한 변수를 보정하면, 편도체척추의 대사활성도는 뇌졸중 재발과 혈관사건에 대해 독립적인 예측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전통적인 혈관 위험인자뿐 아니라 뇌-심장을 연결하는 신경경로가 심혈관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특히 편도체 대사활성도와 혈관질환의 연관성은 불안스트레스 치료가 뇌졸중 재발 예방 효과가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향후 뇌졸중 치료 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했다.

서울대병원 김정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뇌졸중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병태생리 기전을 발견했다기전을 더 정확하게 규명하고, 적절한 치료 전략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미국심장학회 학술지 <심혈관영상저널(circulation cardiovascular imaging)> 1월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