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한승석 교수팀…신장내과 전문의 자문 따른 환자 생존율 연구

급성콩팥손상은 콩팥 기능이 갑자기 떨어져 소변을 통해 노폐물과 수분을 배출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급성콩팥손상은 입원환자의 20%와 중환자의 50% 이상에서 생길 정도로 많다. 이 질환은 치료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만성콩팥병으로 이어져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인다.

특히 중증 급성콩팥손상은 콩팥이 기능을 전혀 못해 지속신대체요법’(CRRT,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이 필요하다. CRRT는 환자에게 24시간 연속 혈액 내 수분과 노폐물 제거, 전해질 보정을 하는 체외 혈액정화요법이다. 최근 중증 코로나19 환자 증가로 CRRT 사용 빈도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이와 관련, CRRT의 적절한 시작과 유지가 환자 생존율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한승석 교수팀은 2010~2020년까지 중증 급성콩팥손상으로 지속신대체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 2,397명을 대상으로 신장내과 전문의 자문 여부와 환자 생존율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서울대병원에서 급성콩팥손상으로 CRRT를 받은 2,397명의 환자를 신장내과 전문의 자문 그룹’(2,153, 89.8%)비자문 그룹’(244, 10.2%)으로 나누었다. 자문 그룹은 환자 상태에 따라 CRRT 용량과 혈액 속도, 초여과량, 투석액 종류, 혈관 접근 경로, 항응고제, 투석막 교체 시기, 전해질 교정 등에 대해 신장내과 전문의의 자문을 받고 CRRT를 시작유지했다. 이에 비해 비자문 그룹은 별다른 자문 없이 CRRT를 시작유지했다.

CRRT 시작 후 30일째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 자문 그룹(64.1%)의 사망률이 비자문 그룹(86.1%)에 비해 낮았다.

특히 환자 상태 변수(연령성별체중 등)와 치료 관련 변수(CRRT 표적 용량, 혈류 속도, 카테터 유형 등)를 보정했을 때, 위험비를 기준으로 자문 그룹의 사망률은 비자문 그룹보다 50% 이상 감소해 자문받은 환자의 생존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전문의 자문이 이루어진 시기에 따라, 전체 표본의 자문 시간 중앙값(10시간)을 기준으로 조기 자문 그룹과 지연 자문 그룹으로 환자를 분류했다.

그 결과, CRRT 시행 후 조기 자문 그룹이 지연 자문 그룹보다 사망률이 5% 정도 낮았다. 이는 조기에 자문받으면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어, CRRT 시작 후 환자의 생존 이점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중증 급성콩팥손상 환자가 최적의 CRRT 시행을 통해 생존율을 높이고 CRRT 관련 발생 가능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기에 신장내과 전문의와의 상담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한승석 교수는 중증 급성콩팥손상 환자에서 CRRT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시기에 시작하고 유지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라며 최적의 진행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CRRT 전후로 늦지 않게 신장내과 전문의에게 자문받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세계 의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PLOS ONE> 최신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