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김준곤 교수, 최정모 교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의 응집 과정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백질의 병원성 아밀로이드 응집체 형성을 억제하는 신규 응집 억제제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섬유 응집체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 치료제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최근 ‘레카네맙’이 경도 인지장애에 대한 증상 완화 효과를 인정받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지만, 여전히 많은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이 증상 완화 효과가 부족해 약물로 승인받지 못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각 영역이 병원성 아밀로이드 응집체 형성과정에 참여하는 역할을 규명하여,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응집을 억제하기 위한 핵심 표적 영역을 특정하였다.

 아밀로이드 응집체의 형성과정 모식도 / 한국연구재단
 아밀로이드 응집체의 형성과정 모식도 / 한국연구재단

연구팀은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복합체 구조예측을 통해 단백질의 각 소수성 영역에 결합하는 저해제 후보물질을 발굴했으며, 실험을 통해 단백질 응집 저해 및 신경 세포 독성완화 효과를 확인했다.

김준곤 교수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응집의 핵심 영역을 비활성화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유형의 신규 응집 저해제를 발굴하면,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저해제의 효과를 표적 영역으로 집중시킬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JACS Au’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