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팥기능이 떨어진 상태 1~5기로 구분…혈액투석으로 정상생활 가능

콩팥은 우리 몸 등쪽에 있는 강낭콩 모양의 장기이다. 콩팥은 우리 몸속 노폐물과 잉여수분을 소변으로 만들어 몸 밖으로 배출한다. 또 나트륨과 칼륨칼슘 등 대사에 필요한 전해질 농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만성콩팥병은 콩팥이 망가져 콩팥 기능을 할 수 없게 된 상태를 말한다. 노폐물은 걸러지지 않아 계속해서 몸 속에 쌓이고, 수분과 전해질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못한다.

증상이 진행되면서 구역구토와 식욕부진피로감, 다리 부종, 다리에 쥐, 소변을 자주 보는 현상, 피부 건조와 가려움증 등이 나타난다. 더 심해지면 몸속에 과도하게 쌓인 노폐물들이 신경계에까지 영향을 미쳐 실신과 경련발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몸속 수분량이 계속 늘어나다 폐부종이 발생하기도 한다.

만성콩팥병은 콩팥의 잔여 기능에 따라 5기로 구분한다. 90% 이상이면 1기, 60~90% 미만은 2기, 30~60% 미만은 3기, 15~30% 미만이면 4기에 해당한다. 마지막 5기는 콩팥 기능이 15%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다.

5기에 이르면 콩팥 기능을 대신하는 신 대체요법이 필수다. 신 대체요법에는 신장이식과 복막투석, 혈액투석이 있다. 이 가운데 건강한 신장을 이식받는 신장이식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신장공여자를 찾는 것이 쉽지 않고, 이식 후 거부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다.

복막투석은 가정에서 스스로 투석을 할 수 있고, 24시간 꾸준히 노폐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식사나 수분 섭취가 다소나마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배안에 2투석액이 주입돼 있어야 한다. 배가 답답하고, 탈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하루 3~430분 정도 투석액을 갈아주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이 과정에서 외부 균이 침입해 염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신 대체요법은 혈액투석이다.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는 일주일에 2~3회 병원을 방문해 4시간씩 치료를 받아야 한다. 병원에서 진행이 되는 만큼 감염 위험이 적고, 정기적으로 의료진을 만나 진료를 받을 수 있어 안전하다.

대한신장학회가 2001~2020년 동안 135,017명의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20년 사망률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환자 사망률이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투석 환자 사망률은 20051000인년 당 116, 201087, 202019명으로 급격히 줄었다.

강남베드로병원 신장내과 이지연 과장은 다만, 혈액투석은 투석일 사이에 노폐물이 쌓이는 문제가 있어 식단과 수분섭취가 제한된다. 또 병원을 정기적으로 찾아야 하는 만큼 해외 여행 등이 어려울 수 있다만성콩팥병은 더 이상 죽을 병이 아니다. 꾸준한 투석치료와 식단관리 그리고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