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최원식 부연구단장과 건국대 이예령 교수 공동연구팀이 현존하는 광학 현미경 중 생체조직의 가장 깊은 곳까지 고해상도로 이미징할 수 있는 현미경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기술들은 특정 깊이의 2D 정보를 토대로 왜곡된 이미지를 복원하려 시도했지만 생체조직 깊은 곳에서는 직진광이 다 소진돼 기존 기술로는 복원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최적의 체적 해상도를 위한 스펙트럼 각도 분산 보정 과정 / 논문 발췌
최적의 체적 해상도를 위한 스펙트럼 각도 분산 보정 과정 / 논문 발췌

이에 공동연구팀은 이미징 깊이와 해상도 한계를 모두 개선한 ‘입체 반사행렬 현미경’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우선 입사시키는 빛의 파장과 입사각을 바꿔가며 산란된 모든 빛의 3D 정보를 수집해 수차와 색분산을 정확히 고쳤다.

이로써 일반적인 입체 현미경에서 구현할 수 없는 고해상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해졌다.

연구팀은 또 늘어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두 가지의 새로운 알고리즘을 도입해 직진광의 세기를 약 32배 키울 수 있어 더 깊은 곳까지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이예령 교수는 “기존 기술보다 더 선명한 이미지를 얻는 것은 물론 기존 기술로는 이미징이 불가능했던 깊이의 물체까지도 이미징 가능하다”며 “불청객 취급받던 다중산란을 이미징에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최원식 부연구단장은 “입체 반사행렬 현미경은 현존하는 현미경 기술 중 가장 광범위한 빛과 매질 간의 상호작용 정보를 수집해 활용한다”며 “산란매질 내부 이미지 복원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가능해졌고 해당 분야 연구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