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손 씻기 실천과 거주지역의 박탈수준 간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주영준 교수
아주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주영준 교수

아주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주영준 교수는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2020년 8월~11월)와 인구센서스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통해 선정한 19세 이상 일반 성인 인구 215,676명을 대상으로 손 씻기 실천과 지역박탈지수 간 연관성을 분석해 발표했다.

지역박탈지수는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통해 253개 행정구역의 ▲사회계급 ▲주거환경(거주형태·거주여건 등) ▲교육수준 ▲자동차 소유여부 ▲가구형태(1인·노인·여성 가구주) ▲결혼상태 등 사회경제적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대 박탈지역, 보통지역, 최소 박탈지역 총 3개 지역으로 구분했다.

또 손 씻기는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에서 ▲식사 전 손 씻기 ▲화장실 다녀온 후 손 씻기 ▲외출 후 손 씻기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 씻기 ▲비누를 사용해 손 씻기 등 총 5개 유형별로 실천여부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손 씻기 여부 질문에 ‘최대 박탈지역’ 거주자가 ‘최소 박탈지역’ 거주자에 비해 ‘아니오’라고 답변한 경우가 더 많았다고 밝혔다.

두 항목 간 연관성을 다수준 분석한 결과를 보면, 최대 박탈지역 거주자가 최소 박탈지역 거주자에 비해 손 씻기를 하지 않을 확률이 각각 ‘화장실 다녀온 후 손 씻기’ 1.43배, ‘귀가 후 손 씻기’ 1.85배, ‘비누 사용해 손 씻기’ 1.55배 더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손 위생 활동 실천율은 높은 편이었으나, 지역 박탈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화장실 다녀온 후 손 씻기 ▲귀가 후 손 씻기 ▲비누를 사용해 손 씻기 등의 유형에서 차이가 컸다고 설명했다.

손 씻기가 개인의 교육·소득수준 등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으나 이번 연구는 개인의 특성뿐 아니라 거주지역의 특성을 다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영준 교수는 “최근 지역격차, 지역소멸 등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결과가 지역격차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는 정책 방안 및 건강교육 마련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