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최인수 교수 연구팀과 한국뇌연구원이 공동연구를 통해 개에서도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전파 및 신경학적 영향을 확인했다.

왼쪽부터 최인수 교수, 김동휘 박사과정생, 김다윤 석사, 한국뇌연구원 김도근 박사, 김규성 박사과정생
왼쪽부터 최인수 교수, 김동휘 박사과정생, 김다윤 석사, 한국뇌연구원 김도근 박사, 김규성 박사과정생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에서 분양받은 SARS-CoV-2(이하 코로나 바이러스)를 개에게 비강 접종으로 감염시킨 ‘감염 그룹’과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개 ‘접촉 그룹’을 합사 시켜 감염 및 전파가 이루어지는 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직접 감염시킨 그룹과 접촉 그룹에서 모두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됐으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폐 손상뿐만 아니라 뇌에서의 손상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뚜렷하게 발생됐다.

특히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뇌에서 병리적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했는데 개의 ‘혈액-뇌 장벽(Blood-brain-barrier, BBB)’ 경계를 붕괴시키면서 혈액 응고 인자인 피브리노겐(fibrinogen)과 IgG가 뇌로 침투했다.

또 면역인자인 CD4 positive 면역세포 또한 뇌실질 조직으로 침윤되며, 뇌에서 면역세포의 역할을 하는 성상교세포(Astrocyte)와 미세아교세포(Microglia)도 활성화됐다.

게다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의 뇌에서 신경세포의 탈수초화 현상을 비롯한 병리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비정상적인 타우 단백질이 축적됐다. 또 비교적 장기간의 감염이 지속될 경우 신경세포의 수의 감소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코로나19에 확진된 사람들의 10%정도가 신경학적 징후 및 신경증상들을 경험한다는 주장을 간접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또한 반려동물인 개 역시 코로나19를 전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경병리현상을 연구할 수 있는 고등동물 모델로 적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최인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코로나19가 개를 감염시키고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다른 개체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확실한 실험적 증거를 보여준다. 또 뚜렷한 임상증상이 없어도 뇌에서 병리학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병리학적 변화는 감염된 이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SARS-CoV-2 감염에 의한 손상은 후유증을 유발하는 등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에서 발행하는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F=11.8)’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