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김지훈 교수 연구팀이 오스트리아 분자 생명공학 연구소(IMBA), 기초과학연구원(IBS)과 공동 연구 결과 종양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Wnt 신호의 조절 기전을 찾았다고 밝혔다. 

담(Daam1, Daam2) 단백질을 통한 비대칭적 Wnt 신호 조절이 장 성체 줄기세포의 분화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담 단백질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오가노이드학 실험 결과, Rnf43 단백질이 없을 때, 파네스 세포가 증가한 반면, 담(Daam1, Daam2) 단백질이 없을 때 파네스 세포가 감소 / 가톨릭대
담 단백질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오가노이드학 실험 결과, Rnf43 단백질이 없을 때, 파네스 세포가 증가한 반면, 담(Daam1, Daam2) 단백질이 없을 때 파네스 세포가 감소 / 가톨릭대

신체 재생을 돕는 성체 줄기세포가 과도하게 분화될 경우 종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성체 줄기세포는 Wnt 신호전달 체계의 강도에 따라 분화 정도가 결정된다. 

이에 김지훈 교수 연구팀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한 스크리닝을 통해 Wnt 신호전달경로에 영향을 끼치는 두 유형의 단백질 △Rnf43 △담의 역할을 규명했다.

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김지훈 교수는 “기존의 Wnt 신호 관련 항암제는 Wnt 신호의 정규경로 위주로 연구·개발되어 왔다”며 “이번 연구로 담 단백질의 비대칭성이 종양 유발에 관여하는 Wnt 신호의 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밝혀진 만큼, 앞으로 Wnt 신호의 비정규경로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와 관련 항암제 개발이 활발히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ce Advances, (IF 13.6)'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