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지는
직업ㆍ뜨는 직업


▶이런
직업 뜬다=사회의 고령화, 정보기술(IT)의 진보, 기후변화의 심화는 새로운 직업을 발굴해낸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질병의 유행은 이런
임팩트를 더욱 크게 한다. 이런 점에서
바이오신약
개발자
, 태양광발전 연구원 등은 기술의 진보로 성장성이
높을 전망이다.

바이오신약 개발자=생명공학의 발전이 가져올 기술 진보는 이 분야의 신약 연구원의 직업적 비전도
덩달아 고양시킨다.





우리나라에서 신약개발은 항상 큰 숙제이기도 했지만 허울만 좋은 구호였고 또 실제 들여다보면 그 시장 자체가 계륵은 아닐까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점점 안전성에 대한 규제는 많아지고 새로운 물질을 찾기는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제네릭이니 바이오 시밀러 같은 것에 더 관심을 보이고, 심지어 삼성도 바이오시밀러를 한다는 것 아닐까요?

게다가 한쪽에서는 이젠 신약이 아니라 헬스케어(health care)에 신경써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병나고 난 후에 고치는 시대가 아니라 건강할 때 건강을 유지하는 시대니 건강 관리에 도움주는 각종 프로그램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죠.


아무튼 대학원 시절부터 신약 개발 언저리에서 일하면서 국내에 무슨 새로운 물질이 발견되었네, 암 완치가 멀지 않았네, 이런 뉴스들 많이
보아 왔지만 실제로 나온 것은 별로 없는 듯합니다. 물론 그러면서 의학이 발달되고 질병에 대한 이해가 넓어진 긍정적인 점도 부인할 수 없지만 말입니다.

과연
한국에서 바이오 신약 개발자가 뜰 날이 올까요? 약은 그냥 외국에서 사다 먹으면 된다는 인식이 바뀔까요? 후배들을 위해서 정말 뜨는 직업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뉴스를 본지가 15년은 넘었는데 대체 언제 뜨냐고요...





아무튼 대학원 시절부터 신약 개발 언저리에서 일하면서 국내에 무슨 새로운 물질이 발견되었네, 암 완치가 멀지 않았네, 이런 뉴스들 많이
보아 왔지만 실제로 나온 것은 별로 없는 듯합니다. 물론 그러면서 의학이 발달되고 질병에 대한 이해가 넓어진 긍정적인 점도 부인할 수 없지만 말입니다.

과연
한국에서 바이오 신약 개발자가 뜰 날이 올까요? 약은 그냥 외국에서 사다 먹으면 된다는 인식이 바뀔까요? 후배들을 위해서 정말 뜨는 직업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뉴스를 본지가 15년은 넘었는데 대체 언제 뜨냐고요...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