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김형우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한민경 교수 연구팀이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항류마티스제 사용이 심방세동 발생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김형우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한민경 교수
왼쪽부터 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김형우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한민경 교수

심방세동은 고혈압, 당뇨, 갑상선·심장·신장 질환과 함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과도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지난 2010년부터 2020년 사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가운데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된 새로운 환자 10만8,085명 중 2.4%인 2,629명에서 새롭게 심방세동이 진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항류마티스제의 종류는 환자의 나이, 성별에 따라 심방세동 발생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사용은 전체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심방세동 발생을 감소시켰고, 레플루노마이드(Leflunomide)는 발생을 증가시켰다. 레플루노마이드와 아달리무맙(Adalimumab)은 50세 이상에서 심방세동 발생이 늘었다,

남성에서는 메토트렉세이트가 심방세동 발생을 줄인 반면 여성에서는 레플루노마이드가 심방세동 위험성을 높였다.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새롭게 심방세동이 발생하는 비율이 높지는 않지만 항류마티스제의 종류에 따라 심방세동의 위험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이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항류마티스제의 종류에 따른 심방세동의 발생을 분석한 결과,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는 심방세동 발생을 감소시켰고, 레플루노마이드(Leflunomide)는 발생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자료제공: 용인세브란스병원).

안성수 교수는 “연구에서 확인된 항류마티스제와 심방세동 간 연관성은 추후 약물 선택이나 환자 모니터링에 있어 유용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심장 질환 발생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Rheumatology’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