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약물 추천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에 기여

광주과학기술원(GIST) AI대학원 이현주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박성혜 교수는 사람의 유전자 발현 정보와 약물 그래프 정보를 기반으로 암환자의 약물 반응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GIST AI대학원 이현주 교수, 김주연 연구원
왼쪽부터 GIST AI대학원 이현주 교수, 김주연 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세포주 데이터로 학습한 모델을 통해 암환자의 약물 반응성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어 적합한 후보 약물 추천에 의한 환자 맞춤형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대부분의 약물 반응 예측 연구에서는 약물 반응 정보가 존재하는 환자 데이터의 수가 부족하여 데이터가 충분히 많은 세포주 데이터로 모델을 학습시킨다.

그러나 세포주 데이터는 면역계, 혈관계 등이 존재하지 않다는 점에서 환자 데이터의 유전자 발현량 정보와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세포주 데이터로 학습시킨 모델을 환자 데이터에 적용했을 때 정확성이 낮아지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적대적 생성 신경망(GAN)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모델에서 세포주 데이터와 환자 데이터 상호 간 표현(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세포주 데이터로 학습하더라도 환자 데이터에서도 정확한 약물 반응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 모델 ‘PANCDR(Precision medicine prediction using an Adversarial Network for Cancer Drug Response)’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PANCDR’ 모델 구조 PANCDR은 CDR 예측 모델과 적대적 모델이라는 두 가지 하위 모델로 구성. CDR 예측 모델은 인코더, UGCN, CNN으로 구성./ 논문발췌
연구팀이 개발한 ‘PANCDR’ 모델 구조 PANCDR은 CDR 예측 모델과 적대적 모델이라는 두 가지 하위 모델로 구성. CDR 예측 모델은 인코더, UGCN, CNN으로 구성./ 논문발췌

연구팀이 개발한 ‘PANCDR’ 모델은 판별자와 약물 반응 예측 모델을 번갈아 가며 학습시키는데, 1단계에서는 가우시안 인코더가 인코딩한 잠재 벡터가 세포주의 유전자 발현 데이터에서 온 것인지 환자의 유전자 발현 데이터에서 온 것인지 구분하는 판별자를 학습시킨다.

2단계에서는 반대로 판별자가 어느 데이터에서 온 것인지 구분하지 못하도록 약물 반응 예측 모델을 학습시킨다. 이때 환자의 데이터는 유전자 발현 데이터만 있고 약물 반응성이 없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PANCDR’ 모델은 환자 데이터에서 기존의 약물 반응 예측 모델(AUC 0.5273)보다 34% 이상 뛰어난 예측 성능을 보였다.

연구팀은 ‘PANCDR’ 모델을 서울대병원 연구팀(박성혜 교수)의 소아 뇌종양 환자 데이터에 적용하여 반응성이 가장 높게 예측된 상위 5개의 약물을 선정했다. 그리고 이에 관한 기존 연구를 조사한 결과, 5개 약물 모두 뇌종양과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PANCDR’ 모델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현주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세포주 데이터로 약물 반응 모델을 학습하더라도 환자 데이터에서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향후 개인 맞춤 치료를 위한 정확한 약물 반응 예측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생명정보학 분야 국제학술지 ‘Briefings in Bioinformatics’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