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배희준 교수, 7,050명 대규모코호트 분석결과 발표
18~50세 ‘뇌졸중’, 전체 뇌졸중의 10~15%…고령보다 질병 부담 커
12년새 젊은 뇌졸중 발병연령 43.6세서 42.9세로 변화…女 큰 폭↑
혈전용해제 투여율 등 치료 지표 개선…사망률 등 실제 예후 제자리
발병 뒤 병원 이송까지 시간 변화 없는 탓…응급의료시스템 정비를
한국인의 ‘젊은 뇌졸중’ 발병 연령대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가운데 뇌졸중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예후가 여전히 불량한 이유가 대규모 코호트 분석결과에서 도출됐다. 뇌졸중 발병 뒤 병원 이송까지 걸리는 시간에 변화가 없는 것 등 응급의료시스템에 원인이 있다는 것이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와 인하대병원 신경과 김종욱 교수 연구팀이 다기관 뇌졸중 코호트 연구(Clinical Research Collaboration for Stroke in Korea, CRCS-K)를 통해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2년 동안 전국의 17개 병원에서 모집한 18~50세 뇌졸중 환자 7,050명을 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젊은 뇌졸중’이라고 불리는 조기 발생 뇌졸중은 18세에서 50세 사이에 발생하는 뇌졸중으로, 전체 뇌졸중 환자 중 약 10~15%를 차지한다. 젊은 환자들은 뇌졸중에 따른 후유장애를 안고 평생을 살아야하기 때문에 기대여명이 짧은 고령에 비해 질병부담도 1.6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젊은 뇌졸중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젊은 뇌졸중의 평균 발병 연령이 지난 12년 동안 43.6세에서 42.9세로 낮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여성 뇌졸중 환자에서 18~30세 비중이 6.5%(2008~2010년)에서 10.2%(2018~2019년)로 대폭 증가하며 남성이 동기간 4.1%에서 5.5%로 증가한 것과 대비됐다.
문제는 발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치료 성적은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혈전용해제 투여율 ▶혈전제거술 시행률 ▶스타틴 투여율 ▶복합항혈전제 사용률 등 최신 진료 지침에서 요구하는 치료 지표는 좋아졌지만, 사망률, 기능적 회복률과 같은 치료 결과 지표들은 변동이 없었다. 오히려 1년 내 재발률은 2011~2013년 4.1% 수준에서 2017~2019년 5.5%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팀은 예후가 개선되지 않는 이유로 혈관재개통치료 지표 개선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전체의 20%에 불과하다는 점, 증상 발견 후 병원 도착까지 시간은 여전히 8.0시간(2008년 8.4년)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을 꼽았다. 뇌졸중은 빨리 치료할수록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는데 12년 동안 병원 이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거의 단축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또한 뇌졸중을 유발하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 원인질환에 대한 인지율과 치료율이 그대로거나 악화된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젊은 여성에서 흡연율 증가 등이 거론됐다.
배희준 교수는 “젊은 연령에서도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원인 질환을 앓고 있는지 미리 파악하고 관리해야 하며, 빠르게 치료 가능한 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응급의료 시스템을 정비하고 국민들도 개별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배 교수는 “심인성 색전증 등 일부 뇌졸중에서는 항응고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관련 연구와 치료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진성적혈구증가증 신약 '베스레미', 국내 환자서 효과 재입증
- 캄지오스, 유전성희귀질환 '비대성심근병증' 치료 패러다임 바꿔
- 거꾸로 가고 있는 '약제 사전심사제도'…신약 접근성 강화 아닌 '장벽'
- 실손보험금 미지급 사태, 백내장 수술 이어 전립선비대증 수술로 번져
- "종기로만 알았는데" 이홍기가 앓았다는 '이것'…수치심에 방치 쉬워
- 아연 결핍, 파킨슨병의 치매 전환·레보도파 이상운동증 발생 위험 UP
- 공공보건정책관이 본 '응급실 뺑뺑이' 해결책…인력 확보·전달체계 구축
- "위중하고 대체약 없는 요로상피암, 파드셉 급여 시급"
- 시력교정술에 라식‧라섹‧스마일라식 지고 ‘스마일프로’ 떳다
- 내 아이 키가 100명 중 3명 내 들만큼 작다?…유전자검사 필요할수도
- 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평점 92.5점…최우수기관 선정
- 국산 '희귀난치성혈액암 신약', 유럽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 소아변비, 시중 판매 변비약으로 더 악화될수도…"제대로 치료를"
- 개선 추이 '흡연'·'음주' 지표, 역행…비만·고혈압 비율, 상승세 여전
- 재난적의료비 지원 기준, 내달 1일 완화…질환 관계없이 의료비 산정
- 급격히 증가하는 청소년 고도비만…단독 질병코드로 '비만' 급여돼야
- 명지병원–고양특례시, ‘정밀의료 클러스터 조성’ 업무협약 체결
- 희귀 심장병 신약 '빈다맥스'의 조기 사용, "사회적 비용 절감에 효율적"
- 출산아 줄었는데…소아청소년 복합만성질환자 수 10년새 10만명 늘어
- 류마티스관절염, 폐암 위험 49%↑…"류마티스관절염 진단 시 금연을"
- 순천향대부천병원 비뇨의학과, 다빈치Xi 로봇수술 1,000례 달성
- 충남대병원, 낙상충격완화 고관절 보호용 에어백 국내 첫 시범 운용
- 서울아산병원 황신 교수, 대한이식학회 신임 이사장 선임
- 대퇴골두무혈성괴사 치료 효과, 나이 따라 다르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