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아산병원 장우영·이효상 교수 연구팀
아연 결핍이 파킨슨병 진행과 관련된 인자로 빠른 파킨슨병 치매로의 전환이나 레보도파 이상운동증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혈중 아연 결핍이 파킨슨병 ‘치매’로의 진행과 파킨슨병치료제 레보도파를 장기간 복용 시 나타나는 ‘레보도파 이상운동증’ 발생의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다.
강릉아산병원은 신경과 장우영 교수와 핵의학과 이효상 교수 연구팀이 파킨슨병 진단 시 혈중 중금속 농도와 파킨슨병 치매로의 진행, 장기간 파킨슨병 약물 복용으로 인한 이상운동증 발생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 이같이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파킨슨병은 대표적인 뇌 퇴행성 질환으로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파킨슨병 발생과 중금속의 관련성이 여러 연구에서 제시된 바 있다.
파킨슨병 치매는 대표적인 비운동증상 중 하나이며, 이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생률이 올라가게 된다.
또한 레보도파 유발성 이상운동증은 파킨슨병 치료제를 장기간 복용 시에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위 두 질환은 환자의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강릉아산병원에서 파킨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모집했다. 첫 번째 연구와 두 번째 연구에서 환자군을 각각 두 그룹(▲치매 발생·미발생 환자군 ▲레보도파 이상운동증 발생·미발생 환자군)으로 나눴고 ‘치매’와 ‘레보도파 이상증후군’ 발생까지의 시간에 중금속농도(▲구리 ▲아연 ▲망간 ▲납 ▲수은)가 관여하는지 분석했다.
먼저 파킨슨병 치매 발생·미발생 환자군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치매 발생 환자의 혈중 아연농도는 발생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냈고 한국형 치매선별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처음 진단부터 파킨슨병 치매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에 아연농도가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도 혈중 아연농도는 레보도파 이상운동증이 발생한 환자군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고 아연농도의 감소는 파킨슨병 환자의 레보도파 이상운동증 발생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장우영 교수는 “아연 결핍은 음식 섭취나 건강보조제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아연 결핍을 방지함으로써 치매나 이상운동증 같은 파킨슨병의 증상 및 합병증을 늦출 가능성을 시사해 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국산 샤르코-마리-투스병 유전자교정치료제, 美서 희귀의약품 승인
- 국내 의료진, 정확도 높인 '심정지' 생존자 예후 예측법 제시
- 공공보건정책관이 본 '응급실 뺑뺑이' 해결책…인력 확보·전달체계 구축
- "위중하고 대체약 없는 요로상피암, 파드셉 급여 시급"
- 시력교정술에 라식‧라섹‧스마일라식 지고 ‘스마일프로’ 떳다
- 내 아이 키가 100명 중 3명 내 들만큼 작다?…유전자검사 필요할수도
- ‘애주가’와 ‘알코올 중독’은 종이 한 장 차이
- 분당서울대병원서 로봇수술한 말기 신장암·방광암 완치율 90% 넘었다
- 실손보험금 미지급 사태, 백내장 수술 이어 전립선비대증 수술로 번져
- 캄지오스, 유전성희귀질환 '비대성심근병증' 치료 패러다임 바꿔
- 진성적혈구증가증 신약 '베스레미', 국내 환자서 효과 재입증
- 연령대 낮아지는 ‘젊은 뇌졸중’, 치료법 발전에도 예후 불량 여전…왜?
- 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평점 92.5점…최우수기관 선정
- 국산 '희귀난치성혈액암 신약', 유럽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 소아변비, 시중 판매 변비약으로 더 악화될수도…"제대로 치료를"
- 개선 추이 '흡연'·'음주' 지표, 역행…비만·고혈압 비율, 상승세 여전
- 재난적의료비 지원 기준, 내달 1일 완화…질환 관계없이 의료비 산정
- 급격히 증가하는 청소년 고도비만…단독 질병코드로 '비만' 급여돼야

